하노이의 젊은 에너지, 8X 세대와 그들의 예술 활동지

베트남은 1986년 ‘도이모이(Đổi mới: 개혁, 쇄신)’ 사회주의 경제개방 정책을 채택하여 지금까지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전반에 걸쳐 급변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9천만 명이 넘는 인구 중 70%에 육박하는 청년층의 비중은 베트남이라는 나라가 얼마나 젊게 생동하고 있는지 상상하게 해 준다. 1980년대에 태어난 젊은 세대의 사회적 활동이 점점 활발해짐에 따라 이들을 일컫는 ‘8X 세대’라는 용어가 생겨났고, 이 세대에 대한 이해의 필요성도 커지고 있다. 8X 세대는 다소 폐쇄적인 베트남의 현대미술계에도 활기를 불어넣고 있는데, 그들이 운영하고 있는 독립 예술 공간을 통해 지금의 베트남 아트 씬을 들여다볼 수 있다.

베트남은 보통 지역적으로 정치, 문화, 역사의 중심지인 수도 하노이와 경제 중심지인 호치민으로 나눠 말한다. 일반적으로 경제가 발달한 대도시에 문화예술 활동과 장소들이 발달하기 마련이지만, 베트남은 특이하게도 경제 중심지인 호치민보다 하노이에 국공립 미술관이나 갤러리 등의 예술 공간이 많다. 그중 독립 예술 공간을 비교해 보자면, 호치민의 독립 공간은 대체로 자체 자금 조달을 통해 보다 자율적인 활동을 많이 한다. 대부분 공간의 특성이 만든 사람들 또는 아티스트 자체 개성에 의존하는 편이다. 반면, 하노이의 경우는 개인의 개성보다 외부 환경이나 단체, 공간의 역사 등 주변 상황의 특성을 드러내는 공간이 많다. 이는 베트남의 현실을 받아들이고 활용하여 ‘베트남스러움’을 지키려는 지역적 성향에서 기인한다.

아버지 세대가 일군 공간에 젊음을 불어넣다
냐산 컬렉티브(Nha San Collective)

1998년 아티스트 응웬 마잉 득(Nguyen Manh Duc)과 아티스트 겸 큐레이터 쩐 르엉(Tran Luong)은 냐산 스튜디오(Nhasan Studio)를 설립했다. ‘냐산(Nhà Sàn)’은 베트남 소수민족인 므엉(Muong)족의 전통 가옥을 지칭하는 단어이다. 이들은 이 가옥의 골조를 하노이에 있는 그대로 가져와 베트남 실험예술을 지향하는 새 플랫폼의 공간으로 만들었다. 현재 카페 냐산(Cafe Nhasan)으로 운영되는 이곳은 베트남의 첫 비영리 독립 예술 공간이라 할 수 있는데, 냐산 스튜디오는 활발한 활동에도 불구하고 베트남 정부의 예술 검열로 인해 비공식적 폐쇄 조치를 당하고 말았다. 그 후, 절치부심하던 이들은 젊은 세대로 구성원을 재편성하고 2013년 하노이 중심가인 리 꿕 수(Ly Quoc Su) 거리에 ‘냐산 컬렉티브(Nha San Collective)’란 이름의 새 공간을 열었다.

현재 냐산 컬렉티브는 현지 아티스트와 유학에서 돌아온 8X 세대로 구성된 주 멤버, 협업 전시에 참여하는 유동적 멤버 이렇게 두 종류로 구성되어 공간이 운영되고 있다.(마잉 득의 딸이자 주 멤버인 프엉 링(Phuong Linh)은 2012년 금천예술공장 레지던시에 참여한 바 있으며, 다른 아티스트들과 냐산 컬렉티브의 이름으로 2014년 창원조각비엔날레 아카이브형 전시에도 참여했다.) 또한 이 공간과 마주하고 있는 라카(Laca: Lyquocsu Art Cafe Area)라는 카페를 경우에 따라 활용하면서 다양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냐산은 다른 곳과 달리 선대의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는 점에서 베트남 현대미술사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그렇기 때문에 그들의 활동과 공간은 많은 주목을 받고 있다.

2014 팸스초이스에 선정된 블랙스트링(왼쪽)과 이희문(오른쪽)의 공연 모습

▲ 냐산 컬렉티브 외관과 전시 공간(사진 제공: 냐산 컬렉티브)

하노이 예술가들의 아지트
만지 아트 스페이스(Manzi Art Space)

만지 아트 스페이스는 20세기 프랑스 식민지풍 주택을 개조해 2012년에 문을 열었다. 베트남 건물의 특성상 좁은 면적의 이 공간에 들어서면 이곳에서 얼마나 예술 활동을 할 수 있을까 하는 의문이 든다. 평소에는 카페로 사용되지만 행사가 있을 때에는 1, 2층과 테라스까지 알뜰하게 공간을 활용하며 행사 장르에 맞춘 공간으로 탈바꿈한다. 여느 독립 공간이 그렇듯 재정적인 어려움을 해결해야 하기에 일반인과 관광객을 대상으로 카페를 운영하고 있지만 전시, 공연, 예술 모임 등에 따라 굉장히 자유롭게 공간을 사용하며 독립 예술 공간으로서의 브랜드를 확고히 해 가는 곳이다. 또한, 평소 베트남 예술가들이 자주 모이는 아지트인 이곳에 가면 많은 현지 예술가들과 만날 수 있으며 직접 작품을 구매할 수 있다.

플레이스 막(place MAK)

▲ 만지 아트 스페이스의 외관과 카페로 활용될 때(가운데), 전시장으로(오른쪽) 활용될 때의 만지 아트 스페이스

록 스피릿으로 뭉친 복합공간
하노이 록 시티(Hanoi Rock City)

하노이에서 가장 큰 호수인 서호(Ho Tay) 부근에 위치한 하노이 록 시티(Hanoi Rock City, 이하 HRC)는 명칭에서 알 수 있듯, 공연을 위한 공간이다. 2010년 외국인 멤버를 포함한 베트남 8X 세대 아티스트, DJ, 뮤지션 4인에 의해 시작되었다. 하지만 현재 이곳은 전시, 패션쇼, 거리예술 등 음악에 한정되지 않고 모든 예술을 다루는 복합공간이 되었다. 서호 지역은 중심가에서 조금 떨어진 주택가로서, 특히 외국인들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이다. 일반인들의 접근성이 좋은 곳은 아니기 때문에 관심이 적은 사람들에게는 여전히 생소한 공간일 수 있다. HRC는 상시로 바를 운영하고, 공간을 대여하며, 행사에 따라 다르지만 물가에 비해 다소 높은 가격의 티켓을 판매하는 등의 방식으로 운영하고 있다. 베트남은 물론 해외 아티스트들과 협업하며 국제 프로그램을 주최하는 등 질적 다양성 또한 추구하고 있어 찾아오는 관객들도 점차 늘고 있는 추세다. 거친 느낌의 록 공연부터 실험음악, 퍼포먼스, 시각예술에 이르기까지 한 장르로 HRC의 특징을 정의 내릴 수 없는 것, 이 자유로움이 이곳의 장점이다.

2014 팸스초이스에 선정된 블랙스트링(왼쪽)과 이희문(오른쪽)의 공연 모습

▲ HRC의 외관과 퍼포먼스 진행 모습(사진 제공: 조프로젝트)



2013년 말, 총리 인준하에 베트남 정부는 현대미술을 인정하고 지원하겠다고 공표했다. 그러나 이것은 정부 소속 단체나 기관 이외의 개개인 지원으로 이어지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정부의 지원이 미미하고, 문화 향유층이 적기 때문에 독립 공간들이 백 퍼센트 비영리로 운영되기란 쉽지 않다. 이에 이들 공간은 예술 활동과 상업 활동을 병행하는 하이브리드 공간의 형태를 취하게 되었다. 겉으로는 뚜렷한 특징이 없어 보일 수 있지만, 이는 8X 세대들이 사회적 상황을 고려하여 의도적으로 설정한 공간 활용법이다. 그래서 이들은 그 정체성을 잃지 않기 위해 예술 활동을 게을리하지 않고 있다. 냐산과 만지, HRC과 같은 독립 예술 공간들의 중심에는 8X 세대가 있고, 정도의 차이는 있지만 대체로 모든 예술 장르에 열려 있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지금도 베트남 곳곳에서 만들어지고 있는 예술 공간들이 어떻게 이들과 어우러져 베트남의 아트 씬을 만들어갈지 그 미래가 궁금해진다.


※ 본 기사는 현대미술 국제교류 플랫폼 더아트로에 게재된 원고를 재편집한 것입니다.


필자소개 필자소개
편형미는 전시기획과 예술교육, 국립민속박물관 기자단, 《아트인컬처》의 동남아시아 해외통신원 활동을 해왔으며, 문화체육관광부와 (재)예술경영지원센터의 국제문화교류 전문가 파견사업(NEXT)의 일환으로 주베트남한국문화원에서 아트 스페셜리스트로 활동했다. 현재 (재)예술경영지원센터 교류협력팀에서 일하고 있다. 이메일

  • 페이스북 바로가기
  • 트위터 바로가기
  • URL 복사하기
정보공유라이센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