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예술경영지원센터는 예술산업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 이를 발전시킬 수 있는 소통의 장을 마련하고자 <예술산업 미래전략 포럼>을 2015년 12월 16일(수)부터 이틀간, 광화문 KT올레스퀘어 드림홀에서 개최했다. ‘예술산업, 창조적 미래를 열다’라는 대주제로 진행된 포럼에는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부상하는 예술산업의 미래전략을 만들어 가기 위해 국내외 26명의 전문가가 참여했다. 이에 ≪weekly@예술경영≫은 포럼의 각 발제자들의 발표 내용을 간략히 정리해 소개한다.

허미호 위누(weenu) 대표는 대중과 예술의 소통을 비전으로 하는 문화예술 기업 위누를 설립, 지난 10여 년간 이끌어 오며 여러 기업, 기관과의 협력을 통해 대중이 쉽게 다가갈 수 있는 플랫폼을 만들고자 노력하였다. 이번 포럼에서 그는 위누를 시작했던 10년 전부터 지금까지의 과정과 프로젝트, 발전 방향을 통해 문화예술 스타트업이 택해야 할 전략에 관해 설명해주었다.

  • 일 시ㅣ
    2015년 12월 17일(목)
  • 장 소ㅣ
    광화문 KT 올레스퀘어 드림홀
  • 주 제ㅣ

    예술산업, 창조적 미래를 열다
    세션 6. 예술기업의 새로운 변화_
    예술과 대중의 소통 플랫폼-weenu
  • 발제자ㅣ

    허미호_weenu 대표

문화예술의 새로운 플랫폼 만들기

나는 이전에 문화예술 애호가이면서 외국계 기업에서 ‘인터내셔널 프로덕트 매니저(International Product Manager)’로 일하면서 한국과 외국 시장에서 서비스를 론칭하고 관리하는 일을 담당하고 있었다. 하는 일은 여러 가지였지만 이를 모두 관통하는 포인트는 ‘플랫폼 서비스’였다. 여기서 플랫폼이란 사람과 사람이 만나고 또 사람과 콘텐츠가 만나는 공간을 제공한다는 의미이다.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하면서 플랫폼의 메커니즘과 효과를 파악하던 중 내가 좋아하는 예술과 플랫폼을 접목시킬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 2007년 다니던 회사를 그만두고 창업을 시작했다. 문화예술을 전공한 사람은 없었지만 기획자, 개발자, 마케터, 디자이너 역할을 맡은 4명이 모여 처음 위누를 설립하였다. 그 당시 우리가 벤치마킹한 회사는 중저가 예술 작품으로 온라인으로 거래하는 미국 샌프란시스코에 위치한 ‘Etsy’ 회사이다. 현재의 규모와 비교해보면 2008~2009년의 ‘Etsy’는 훨씬 작은 회사였다. 이곳은 ‘Etsy economy’라는 콘셉트를 만들 정도로 중저가의 예술작품을 대중화하여 사람들의 긍정적 평가를 이끌어냈다. 그래서 위누도 이를 모델로 해서 사업을 구상하게 되었다.

그러나 한국 예술시장의 실상은 달랐다. 실제로 플랫폼을 만들어 보니 온라인으로 제대로 된 거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위누는 이런 상황에서 나름대로의 콘텐츠를 만들어보자고 생각했고 미술 작가들과 협업해 직접 작품을 만드는 DIY키트를 제작, 꽤 큰 수익을 창출했다. 처음에는 작가들과 함께 일하기 쉽지 않았지만 서로 의견을 조율해 나가는 과정에서 작가들과 한목소리를 내게 되고 또 더 많은 작가들을 만나게 되면서 위누를 처음 설립할 때 고민했던 ‘플랫폼’의 기능을 다시 생각해보게 되었다.



<아트플레이그 라운드> 프로젝트 전경 <아트플레이그 라운드> 프로젝트 전경
▲ <아트플레이그 라운드> 프로젝트 전경

소셜 아트의 3대 키워드: 환경, 지역, 다문화

문화예술 플랫폼으로서 우리가 고민했던 부분은 어떻게 하면 문화예술 생태계를 활성화시킬 수 있을까 하는 것이었다. 대중과 예술이 소통하게 되면 소비가 증가할 것이고, 이 소비가 결국 생태계를 활성화할 수 있다고 생각했는데, 사실 그 ‘소비’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대중에게 새로운 예술 교육이 있어야 한다는, 다시 말해 그들에게 예술에 관한 고정관념을 깨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런 변화를 만들어가기 위해 우선 사람들이 온라인에서 쉽게 경험할 수 있는 예술 콘텐츠를 만드는 계획을 잡았고, 예술보다 사람들이 더 가깝게 느끼는 도시, 환경, 다문화 등의 이슈를 다루는 예술을 만들어보자고 의기투합했다. 이 아젠다가 결국 회사의 큰 양대 축을 만들었는데 ‘소셜 아트’와 ‘온라인’이 그것이다. 소셜 아트에서는 위누가 직접 기획을 한다기보다는 사회적 이슈를 예술작품으로 풀어내는 예술작가 군이 주축이 되고 위누는 이를 위한 플랫폼이 되고자 한다. 2012년부터 지금까지 5회째 진행하고 있는 아트페스티벌, 청계천에서 진행하는 업사이클 페스티벌이 소셜 아트의 대표적인 예이다. 2013년에 진행한 페스티벌을 예로 들면 100명의 작가들이 20여 톤의 폐자원을 재료로 사용해 작품을 만들었는데 이 작품은 이후에 전시 콘텐츠, 교육용 콘텐츠로 활용되었다.

또한 ‘지역’도 소셜 아트의 중요한 주제이다. 2012년부터 문래동을 중심으로 ‘헬로우 문래’라는 협동조합을 운영하고 있다. 문래동 작가들의 작품을 판매하는 플랫폼으로 5만 원대에 작품을 판매하는 콘셉트라 처음에는 작가들의 반발이 거셌다. 하지만 해가 거듭되면서 작가의 오리지널리티를 보장하고 한 번 작품이 판매된 뒤에 ‘투자 목적’으로 거래되는 것을 최소화한다는 인증서로 구매자의 신뢰를 얻는 등 발전되었다. 이 과정을 통해 현재에는 많은 작가들이 참여하는 활발한 플랫폼으로 기능하고 있다. 현재 위누 사무실이 위치해 있는 성수동에서는 지역 주민과 함께하는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소셜 아트의 마지막 키워드인 ‘다문화’는 여러 예술교육 프로그램으로 접근하고 있다. 2013년부터 서울시립미술관 예술교육프로그램을 위탁 운영하고 있고, 초등학교 미술 수업에서 진행하는 DIY키트도 배포하고 있다.

위누에서는 한 달에 2번 작가와 만나는 ‘헬로우 아티스트’, 네이버 문화재단과 함께하는 ‘온 스테이지’를 온라인에서 진행하고 있다. 이번 포럼에서 발표한 현대자동차의 경우와 비교해서 생각해본다면, 위누에서는 작품에 대한 작가의 감정, 생각이 잘 드러날 수 있는 영상과 온라인 콘텐츠를 제작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네이버 문화재단과 현대자동차 그룹은 아트 마케팅에 있어 가장 많은 대중적인 소비자를 가지고 있는데, 이런 채널들과의 협업을 통해 대중에게 문화예술을 전파하고 있다. 또한 새로운 온라인 채널에 대해 고민하고 있다. ‘문화예술 추천 서비스’를 개발 중인데 이것은 일반 대중이 가볼 만한 문화예술 이벤트, 행사를 추천하는 서비스이다.



문화예술 스타트업을 위해 필요한 것들

위누와 같은 문화예술 기업을 만들고 싶은 이들에게 몇 가지 이야기하자면 첫째는 ‘내려놓음’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2000년 대학생 시절에 벤처 동아리에서 활동했었는데, 이 동아리 안에서 이투스, 공신 등의 벤처 회사가 만들어졌다. 시작은 한 동아리에서 이루어졌는데 지금 가는 길을 비교해보면 많이 다르다. 이투스, 공신 같은 회사는 훨씬 더 큰 규모로 성장했다. 그러나 어떤 아이템이 시장에서 성공할지를 먼저 보고 길을 개척하는 것만은 아니라고 본다. 사실 예술은 이미 시장적 의미에서는 실패한 분야가 아닌가. 해결책이 많은 분야가 아니기 때문에 일반 벤처와는 조금 다른, 일반 스타트업과는 다른 시선으로 트랙을 만들어야 한다. 그런 면에서 나는 내려놓음이 필요하고 지치지 않게 나만의 흐름을 찾아서 그에 맞게 노력하는 법을 배웠다. 이 방법 중 하나가 ‘분산시키는’ 것인데 인도네시아, 서울, 부산, 대전 등 여러 곳에서 각기 다른 프로젝트를 진행하여 우리가 직접 운영할 수 있는 프로젝트의 범위를 조금씩 확장해 가고 있다. 마지막으로 스타트업을 할수록 비슷한 일을 하는 사람들과의 연대가 필요하다고 본다. 현재 위누가 성수동에서 다른 분야의 스타트업과 협력하면서 길을 모색하는 것처럼 지속적으로 기업이 발전해나갈 힘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

사진촬영_곽은진

  • 페이스북 바로가기
  • 트위터 바로가기
  • URL 복사하기
정보공유라이센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