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 샤르자미술재단이 주최한 미술 행사 취재차 아랍에미리트(UAE)에 다녀왔다. 이 계기로 ‘중동 시각예술 시장 동향’에 대한 칼럼 청탁을 받았다. ‘중동미술’이란 거대한 카테고리를 논하기 전, 먼저 ‘중동’ 호칭의 개념부터 짚어 보고자 한다. 한국과 물리적 거리는 물론이고 문화적 심리적 거리 또한 전통적으로 먼 곳인 만큼, 그 의미가 상당히 낯설고 막연하게 다가올 수 있기 때문이다.

‘중동미술’? ‘아랍미술’!

동쪽의 중앙을 뜻하는 ‘중동(Middle East)’은 이 지역을 제국주의 시대 유럽인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명명한 데서 비롯된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이 지역의 지도 자체가 20세기 이후 전쟁과 국가 재건 등을 거치며 끊임없이 변화 중이다. 실제로 세계 지도 상에서 중동의 정확한 범위를 콕 집어 말하기가 좀처럼 쉽지 않다. 게다가 이 지역에서 발행한 지도 중 상당수는 해당 지역을 서구 중심적 용어인 ‘중동’이 아닌, 좀 더 주체적 인상을 주는 ‘중앙아시아(Central Asia)’라고 명기하고 있다. 미술에 있어서도, 지리적 연관성을 강조한 ‘중동미술’ 프레임으로 엮을 경우에 그 뿌리가 이슬람 문화 뿐 아니라 유대교 및 가톨릭 문화 일부까지 포함하기 때문에 서로 유사점보다는 차이점이 두드러지기 쉽다고 본다. 그러므로 문화적 연관성을 강조한 ‘아랍미술’로 구분 짓고 들여다보는 것이 조금은 더 수월할 것이다.

물론 ‘아랍’ 개념 역시 방대한 지역을 포괄한다. 3월 방문 때 찾았던 샤르자문명박물관(Sharjah Museum of Islamic Civilization)에 전시된 ‘아랍 지도’를 살펴보니, 가깝게는 인도네시아, 브루나이, 말레이시아에서부터 인도 일부 지방으로, 서쪽으로는 ‘중앙아시아’로 묶인 아랍에미리트를 위시하여 사우디아라비아, 오만, 파키스탄, 이란, 이라크, 서쪽으로는 터키 동부, 남쪽으로는 소말리아, 에티오피아, 모로코, 세네갈, 가나 등 아프리카 대륙 북부까지 포함하고 있었다. 이렇게 거대한 영역을 아우르는 아랍 문화권의 미술 중에서도, 특히 최근 몇 년 새 ‘붐업’이 한창인 아랍미술시장의 동향을 점검하고자 한다. 지난 3월 ‘제3회 두바이 아트 시즌(Dubai Art Season)’ 관련 이벤트로 떠들썩했던 아랍에미리트의 두바이, 그 중에서도 아트두바이와 알세르칼애비뉴(Al Serkal Avenue) 현장을 집중 소개한다.

아랍미술시장 ‘허브’, 아트두바이

아랍에미리트는 7개 토후국 중에서도 상대적으로 부유한 두바이, 아부다비, 샤르자 등을 중심으로 주정부 차원에서 미술 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지원 정책을 실시한다. 특히 외국인의 사업과 이민이 까다롭지 않은 편이라고 한다. 세계 곳곳 총 75개국에서 날아든 이들이 북적이는 다문화 도시의 특성을 살려, 해외 베테랑 미술인들의 진입로를 막힘없이 뚫어 주는 개방적 정책을 펴는 것. 그런데 각 토후국의 특성별로 분야별 발달에는 차이가 있다고. 두바이의 경우 자유무역지구에서 미술품 거래 시에 관세가 면제되는 강점에 힘입어 전 세계 주요 갤러리들이 다양하게 들어서고 있다. 또한 아트두바이의 성공과 함께 아랍미술시장의 ‘허브’ 역할을 하고 있다. 반면 미술관, 미술재단, 교육 기관은 수요에 비해 공급이 딸리는 편이다. 현재까지는 인접한 샤르자와 아부다비의 인프라를 공유하고 있는 실정이다. 샤르자의 경우 샤르자미술재단이 비엔날레와 전시 교육 프로그램 등으로 담론 생산에 활발하게 기여하고 있고, 아부다비는 로컬 대학과 미술관이 활발한 가운데 뉴욕대 등 세계 우수 대학의 자국 캠퍼스와 구겐하임, 루브르 등 세계 유명 미술관 박물관을 유치하여 눈길을 끌고 있다.

두바이문화예술국(Dubai Culture & Arts Authority)은 2014년부터 매년 3~5월 두 달가량을 ‘두바이 아트 시즌’으로 지정하고 미술 및 디자인 페어를 개최하고 있다. 뭐니 뭐니 해도 가장 주목할 행사는 ‘아랍미술시장의 꽃’ 아트두바이. 아랍 최대 규모의 페어로 아랍에미리트 수상 겸 부통령을 맡고 있는 라쉬드 알 막툼(Sheikh Mohammed bin Rashid Al Maktoum) 왕자가 대표 후원자인 만큼 재정적으로 매우 탄탄하다. 3월 16일부터 19일까지 두바이 마디나 주메이라(Madinat Jumeirah)에서 열린 이번 페어는 올해가 10회째. 70개국 89개 갤러리가 참여해 총 500명의 작가를 선보였다. 참여 작가 규모는 2015년과 동일했지만, 참여 국가가 작년의 40개국에 비해 큰 폭으로 늘어 아트두바이의 ‘글로벌 가속화’를 실감케 했다. 올해 페어에는 총 27,516명의 관람객이 들었다. 필자가 찾은 15일 오프닝에만 5천여 명이 북적였다. 컬렉터 외에도 아시아 및 중동 지역의 미술기자, 큐레이터, 미술재단 관계자 등을 다수 만났다. 아랍미술의 향방을 살피려는 전문가들의 발걸음이 잦았던 듯하다. 페어는 아랍에미리트를 넘어 중동 지역, 북아프리카, 남아시아 지역 곳곳에서 만개한 ‘아랍미술’의 화려한 면모를 한 자리에서 만날 수 있는 장이었다. 현대미술 작품을 다루는 <컨템포러리>와 20세기 미술 위주의 <모던> 두 섹션 모두 중동을 넘어 전 세계에 펼쳐진 ‘아랍미술’을 현대미술로 치환한 사례가 많았다.



아트 두바이 <컨템포러리> 섹션 ⓒ아트두바이 홈페이지 ▲ 아트 두바이 <컨템포러리> 섹션 ⓒ아트두바이 홈페이지

<컨템포러리> 섹션은 두바이의 주요 갤러리는 물론 글로벌 아트페어의 단골, 아랍 문화권의 신생 갤러리까지 다양하게 만나볼 수 있다. 두바이에서 상한가를 치고 있는 대표적 갤러리로 레일라헬러(Leila Heller), 더써드라인(The Third Line), 로리샤비비(Lawrie Shabibi), 아얌(Ayyam)갤러리 등이 나왔다. 참여 작가들은 아랍의 전통 문물을 미술에 적극적으로 적용한 사례가 많이 보였다. 특히 이슬람 전통 복식을 착용한 인물 사진, 아라비안 자수 패턴을 재현한 회화나 조각 작품이 눈에 띄었다. 이런 분위기는 해외 갤러리에서도 이어졌다. 인도 갤러리 엔스페리멘터(experimenter)의 경우도 프라닛 소이(Praneet Soi)의 전통 문양 모티프를 적용한 드로잉과 조각을 선보여 인기를 얻었다.



Youssef Nabil_더써드라인(The Third Line) 출품작 ▲ Youssef Nabil_더써드라인(The Third Line) 출품작

한편 프랑스와 중국에 지점을 둔 갤러리컨티누아는 다니엘 뷔렌의 유명한 사각형 패턴으로 부스 전체를 장식하고, 아이 웨이웨이와 아니쉬 카푸어의 조각 작품을 선보이는 등 갤러리 고유의 대표작을 전면에 내세웠다. 런던의 캐롤/플레처는 세계적으로 막 주목 받기 시작한 비디오아티스트들의 수작을 소개하는 데 주력했다. 팔레스타인 출신의 젊은 듀오 작가 바젤 아바스(Basel Abbas)와 루안 아부-람(Ruanne Abou-Rahme)의 영상 설치 <The Incidental Insurgents>(2012~15) 작품을 전시해 눈길을 끌었다. 이들은 페어가 개최하는 <아브라지그룹 미술상> 올해 수상자로 선정돼 별도의 신작전도 열었다. 캐롤/플레처는 올해 미디어시티서울비엔날레에 참여하는 한국계 미국 작가 크리스틴 선 킴의 드로잉도 함께 전시했다.

<모던> 섹션은 중동, 아프리카, 남아시아 등 다양한 지역의 ‘아랍미술 거장’ 개인전 위주로 펼쳐졌다. 런던 그로스버너(Grosvenor)갤러리의 사이드 사데퀘인(Syed Sadequain) 개인전, 두바이 로리샤비비의 마릴리 아프난(Malileh Afnan) 개인전이 큰 주목을 받았다. 한편 <글로벌 아트 포럼>은 ‘미래는 …였다(The Future was)’를 주제로, 총 50여 명의 연사가 참여해 32개의 토크, 패널 디스커션, 퍼포먼스 등을 진행했다. 총 2천여 명이 참석해 역대 최고의 참석 인원을 기록했다. 페어 디렉터 안토니아 카버는 “올해 아트두바이는 세계 미술계의 글로벌화를 그대로 보여줬다”고 자평했다.



아트두바이 <모던> 섹션 ⓒ아트두바이 홈페이지

▲ 아트두바이 <모던> 섹션 ⓒ아트두바이 홈페이지

‘아랍의 브루클린’, 알세르칼 애비뉴

필자는 아트두바이 오프닝을 하루 앞두고 알세르칼 애비뉴를 찾았다. 두바이에서 갤러리 활동이 가장 활발한 곳으로 두바이국제금융센터(DIFC)와 알세르칼 애비뉴 두 곳을 꼽는다고 한다. 고급 쇼핑몰 거리에 로컬 화랑이 들어서 있는 DIFC를 뉴욕 맨해튼 5번가라고 치면, 산업 지역인 알쿠오즈(Al Quoz) 공장 지대 한복판에 조성한 ‘갤러리촌’ 알세르칼 애비뉴는 마치 뉴욕 브루클린과 닮았다고들 한다. 저렴한 임대료에 힘입어 하나 둘 들어선 로컬 갤러리들이 이제는 화려한 군락을 형성했고, 아트두바이 기간에 매년 열리는 ‘갤러리 나이트’가 특히 가장 큰 볼거리이다. 이곳의 분위기 역시 크게 두 종류로 나뉘었던 듯하다. 가장 큰 큐모를 자랑하는 레일라헬러 갤러리의 미켈란젤로 피스톨레토와 Y.Z 카미(KAMI) 개인전이 런던이나 홍콩의 글로벌 갤러리 오프닝 현장을 연상시키는가 하면, ‘거장 파워’에 눌리지 않고 개성 있는 아티스트 스튜디오를 운영하는 새틀라이트(SATELLITE)의 디렉터 라미 파룩(Rami Farouk)은 ‘브루클린’하면 연상할 수 있는 자유분방한 젊은 아티스트의 느낌 그대로였다. 카페 겸 갤러리로 운영되는 A4스페이스는 알세르칼 에비뉴의 ‘사랑방’ 같은 곳으로 글로벌 미술인들의 네트워킹이 한창이었다. 현지에서 만난 갤러리스트는 “아트두바이 시즌이 가장 붐빈다”며 “비(非)시즌에도 이러한 열기가 지속되도록 다양한 이벤트 등을 연구 중“이라고 귀띔했다.



알세르칼 애비뉴 RCA시크릿 전경, warehouse 46 ▲ 알세르칼 애비뉴 RCA시크릿 전경, warehouse 46

알세르칼 애비뉴, 갤러리 나이트 전경 ▲ 알세르칼 애비뉴, 갤러리 나이트 전경

‘두바이 아트 시즌’의 이 ‘핫’한 도시에는 이밖에도 걸프만 지역 작가에 집중하는 시카(SIKKA)아트페어(3.13~24)의 첫 에디션과, ‘어포더블아트페어’의 두바이 버전이라 할 수 있는 월드아트두바이(4.6~9) 등 다양한 중소규모 아트페어도 이어졌다. 함단빈모하메드사진상(Hamdan bin Mohammed Prize for Photography)에서 올해 처음 개최한 <Dubai Photo Exhibition>(3.16~19)도 눈길을 끌었다.

필자가 아랍미술시장의 현황을 간략하게나마 겪어 보고 느낀 점은 크게 두 가지다. 첫째, 아랍 고유의 전통과 예술을 외부에 소개하는 데 매우 적극적인 한편 또한 외부 문화를 받아들이는 데도 개방적으로 보였다는 점. 오랜 다문화 역사 덕분에 외부인의 진입 장벽이 낮다는 점은 아랍미술시장에 진출하려는 한국 미술인들에게도 매력적인 요소이다. 실제 이번 방문에서 아랍에미리트의 한국 갤러리를 보지는 못했지만, 페어장과 갤러리를 드나들며 다양한 기회를 도모하는 한국인 아트딜러, 독립 큐레이터 등을 눈여겨보기도 했다.

둘째, 두바이와 샤르자는 경쟁 관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예술 분야에서는 적극적으로 힘을 합친다는 점. 올해 두바이와 샤르자가 각자의 연중 최대 예술 행사인 아트두바이와 샤르자마치미팅을 비슷한 시기로 맞춘 것이 그 예다. 세계 곳곳에서 아랍에미리트를 찾는 이들이 두 행사 모두 놓치지 않도록 배려한 효과적 전략이다. 샤르자미술재단에서 펴내는 아랍미술 전문지 《AL Tashkeel》 역시 두바이와 샤르자 아트씬을 엮어서 영문과 아라비아어로 소개하고 있었다. 이러한 점은 비단 아랍미술시장으로의 진출뿐 아니라 전반적인 국제 교류에서 염두에 두어야 할 상호 협력의 중요성과 그 시너지 효과를 되새기게 했다.




채연필자소개채연은 경희대 시각 정보 디자인 학과, 영국 UCA 패션 프로모션&이미징 학과 및 소더비인스티튜트오브아트(Sotheby's Institute of Art) 컨템포러리아트 석사를 졸업했다. 현재 《아트인컬처》 기자이며, 《ArtReview Asia》 《a.m. post》 등 영어권 시각예술 전문지에 서울 아트씬 리뷰를 기고한다. 《Korean Art: The Power of Now》(Thames & Hudson, 2014) 출판 어시스턴트, <이병복: 3막 3장>(아르코미술관, 2013) 및 <Re-designing the East>(토탈미술관, 2013) 전시 코디네이터로도 일했다.




  • 페이스북 바로가기
  • 트위터 바로가기
  • URL 복사하기
정보공유라이센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