언젠간 가겠지 푸르른 이 청춘 / 지고 또 피는 꽃잎처럼 / 달 밝은 밤이면 창가에 흐르는 / 내 젊은 영가가 구슬퍼 / 가고 없는 날들을 잡으려 잡으려 / 빈 손짓에 슬퍼지면 / 차라리 보내야지 돌아서야지 / 그렇게 세월은 가는 거야 (산울림의 <청춘> 중)

&lsquo;젊음&rsquo;에 대해 이야기해본지 오래다. 이 낡은 단어는 청소년기 교과서 속 <청춘예찬>(민태원)이나 사춘기를 동반하거나 사랑에 상처 받는 청춘들의 이야기, 혹은 신나거나 아주 침울한 대중가요를 떠올리게 한다.『상실의 시대』(무라카미 하루키)가 청춘의 심금을 울리고 산울림의 <청춘>은 왜 그리 음울했던지, 또 롤러스케이트장이나 고고장의 젊은이들이 고래를 잡으러 동해로 떠난 까닭은 또 무엇인지(배창호의 <고래사냥>).

그런데 &lsquo;젊음&rsquo;에 대해 생각하는 것이 꼭 &lsquo;젊은이&rsquo;에 관한 것은 아닐 것이다. 젊음과 젊음을 마치 양파껍질처럼 차근차근 감싸가는 늙음 또는 성숙들을 함께 생각하게 된다. 젊음의 과정에 드러나는 것은 말 그대로 지나온 회색의 노스탤지어나 또는 빛나는 이야기일 수도 또 어떤 예기치 않은 이미지일 수도 있다.

수많은 &lsquo;젊음들&rsquo;의 닮은 꼴 속에서 우리는 어떤 젊음에 대해 생각할 수 있을까? 젊음은 인생의 종착지를 향해가는 길의 어느 지점에 불과한가? 결국은 비가역적인 시간의 흐름에 던져진 주사위처럼 되돌릴 수 없는 비장의 카드일까? 죽음을 향해 항해하는 노화의 과정에 몸을 맡긴 순간 뒤를 돌아보게 하는 것.

사진제공-서울프린지네트워크

젊음은 꿈과 희망과 건강과 미래와 인접해 있다고들 한다. 그런데 젊음은 또 얼마나 허황되고 허무하고 허약한가? 제임스 조이스의 &lsquo;젊은 예술가&rsquo;나 도스도옙스키의 &lsquo;지하생활자&rsquo;나 다락방이나 옥탑방의 젊은 시인이나 철학자들, 모두 현실과는 동떨어져 있는 것 같으면서도 동시에 현실을 향한 강한 열정 속에 있기도 하다.

젊음의 양가성(ambivalence), 이 이중의 뉘앙스를 지나면, 젊음의 담론은 젊음과는 무관한 소리들, 소란들, 관념들의 잔치가 된다. 이러한 젊음을 둘러싼 관행적인 담론들 중에서 젊음의 정체를 찾기가 쉽지 않다. 그것은 마치 이 소리도 아니고 저 소리도 아닌 그리하여 소리가 나지 않는다는 무슨 의약품 광고처럼 들린다. 허구적인 젊음의 이미지, 유사젊음(pseudo-youth)들로 가득한 것이 또 현실이기도 하다.

20세기를 지나며 살아남은 가장 생명력이 질긴 또 가장 성공적인 이데올로기는 &lsquo;젊음 이데올로기&rsquo;이다. &lsquo;젊음 이데올로기&rsquo;만큼 성공한 또 다른 이데올로기는 아마도 &lsquo;청결 이데올로기&rsquo;가 아닐까. 이들 이데올로기들은 일종의 가족유사성을 보여주며 청결한 젊음, 건전한 젊음의 모습으로 동반하곤 한다.

인류학에서는 인간을 하나의 생물 종으로 여기어 인간의 문화를 연구한다. 이 입장에서는 대체로 젊은 예술에 대한 물음은 생물학적 젊음이라는 관념과 이웃한 관념들이 나열되기 마련이다. 이 유사논리와 유사개념이 우리 시대의 젊음이데올로기의 강력한 조력자이기도 하다. 그것은 마치 후기 자본주의시대의 첨단 산업은 전자정보산업만이 아니라 바로 &lsquo;젊음산업&rsquo;이라고 말할 수도 있다.

반면 미학과 예술학은 인간을 일반 생물과는 뭔가 다른 특수한 존재, 즉 일종의 신적인 존재로 격상시켜 그 문화예술적 창조의 비밀을 탐구한다.

밀레니엄을 전후로 한국사회는 이런 두 가지 상반된 입장이 얽히고 상호삼투하면서, 예술계는 상상력과 창의력으로 중무장한 재기발랄의 젊음을 모색한다. 이 젊음에 대한 열렬한 구애는 청년예술가 또는 신예예술가들의 발굴과 지원과 그들의 놀라운 예술적 성공이 곧 우리 사회를 한 단계 높이 올려놓을 것이라 상상한다. 그리고 젊음과 예술의 만남이란 이 놀랍도록 성공적인 기획이 공공영역과 민간영역을 가리지 않고 외연을 확장하였다. 미술계 또한 국공립미술관들은 물론 많은 기업 미술관들이 또 개인 갤러리들이 젊은 미술가들을 찾는 대열에 합류하였고, 이 젊음과 예술의 만남이라는 21세기 황금광 시대의 아이디어는 현재까지는 매우 성공적으로 보인다. 그리하여 젊음과 청춘을 독려하는 사회다.

그런데 젊음은, 또 젊은 예술은 무엇인가, 라고 묻는다면 우리는 오리무중에 빠지는 것이다. 마치 늙은 예술이 있다는 소리처럼 들리는데, 그럼 늙은 예술은 또 무엇인가? 다른 사회보다도 더욱 드라마틱한 시기를 가로지르는 우리의 롤러코스터식 인생을 주위의 &lsquo;젊음&rsquo;들은 어떻게 지내고 있는지 갑자기 궁금해진다.


김노암

필자소개
김노암은 서울에서 나고 자라 회화繪畵와 미학美學을 전공하였다. 미술현장에서 전시기획자로 활동하며 그림과 글로 시절을 보내고 있다. 현재 대안공간 아트스페이스 휴, 미술웹진 [이스트 브릿지], KT&G 복합문화공간 상상마당의 운영과 기획에 참여하고 있다. 본지 편집위원.



  • 페이스북 바로가기
  • 트위터 바로가기
  • URL 복사하기
정보공유라이센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