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겨울 처음 유행하기 시작한 코로나19가 어느덧 여름의 한복판까지 이어지고 있다. 대부분의 국제 교류, 공동 제작, 해외 투어들이 취소되거나 연기되었고, 여전히 물리적인 만남을 통한 국제교류는 아주 먼 일처럼 느껴진다.

삶의 빈칸은 자연스레 다른 것들로 채워졌다. 회의나 만남은 온라인으로 대체되었고, 혼자 글을 읽고 영화를 보는 일이나 집에 있는 시간이 길어졌다. 의도치 않게 주어진 이 시간은 세상의 이야기에 더 관심을 가지고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는 기회이기도 했다. 유럽축제연합(Eureopean Festival Association; EFA) 을 비롯한 세계 곳곳의 공연예술 네트워크와 축제에서 개최하는 온라인 콘퍼런스에 수시로 참여했고, 만나지 못하게 된 해외의 동료들과 전보다 더 빈번하게 연락을 주고받았다. 이전에는 계획하고 작정을 해야 가능했던 일이 도리어 쉬워진 셈이다.

‘In Own Space’1)는 코로나19로 인해 사회 활동이 제한된 상황 속에서 탄생한 작업이다. 강화된 방역 지침과 사회 봉쇄령 탓에 예술을 비롯한 사회 활동의 전반이 제한되었던 태국에서 처음으로 진행되었다. ‘각자의 집’에서 ‘홀로, 여전히 공연’을 하고, ‘서로 교류’하는 것을 핵심으로 하며, 예술가들이 작품을 창작하여 이를 온라인 공연으로 선보인다.

‘내 자리에서(In Own Space 3)’ 포스터 ‘내 자리에서(In Own Space 3)’ 포스터

‘내 자리에서(In Own Space 3)’는 이 작업의 세 번째 단계로, 만남의 대상을 한국과 태국, 일본으로 확장했다. 나는 프로젝트의 한국 프로듀서로, 이 작업을 처음 시작한 태국의 예술가 카윈 비칫쿨(Kwin Bhitchitkul), 아리사라 크애무앙(Arisara Keawmuang)과 함께 새로운 이들을 창작자로 초대하여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역할을 맡았다. 지난 7월 20일부터 8월 8일까지 3주 동안 이어진 이 프로젝트는 보다 적극적으로 온라인에서의 예술 창작, 국제 교류의 가능성을 실험하는 자리가 되었다.

‘내 자리에서(In Own Space 3)’ 크레딧(좌)과 공연 스케줄(우) ‘내 자리에서(In Own Space 3)’ 크레딧(좌)과 공연 스케줄(우)
‘내 자리에서(In Own Space 3)’ 크레딧(좌)과 공연 스케줄(우)

내 자리에서, 우리는 여전히 서로 연결될 수 있을까

프로젝트를 소개하는 서문은 ‘우리는 서로 다른 공간에 존재하는 지금으로부터, 서로 다른 개인 사이의 연결을 찾는다.’라는 말로 시작한다. 코로나19가 세계를 점령한 이후, 작품을 창작하고 선보이는 공간을 상실한 예술가들의 정체성을 고민하며, 여전히 사회에 말 걸기를 원하는 이들의 열망을 담았다. 사회적 괴리와 관계의 단절을 탈피하고자 하는 이 의도는 지금의 시기에 할 수 있는 여러 시도들의 반영이자,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무엇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의 실천이었다.

우리는 몇 가지 규칙을 정했다.

⚫ 한국과 태국, 일본의 예술가들이 영상으로 솔로 공연을 연이어 선보인다.
⚫ 각 공연은 앞의 공연으로부터 영감을 받아 연결 지점을 찾아 자신의 이야기를 이어간다.
⚫ 각 공연의 장소는 예술가 각자의 집, 방 또는 개인 공간으로 정의되는 공간이다.
⚫ 각 공연은 영상의 형태로 촬영, 편집되어 정해진 온라인 공연일에 업로드된다.
⚫ 각 공연의 소요 시간은 2분 30초이다.

이 과정은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아홉 명의 예술가들이 각자 한 편씩 짧은 공연을 모두 선보일 때까지 일련의 축제와 같이 이어졌다. 마지막 공연의 상영 이후에는 전체 공연이 모두 한 편의 영상으로 연결되어 다시 상영된 뒤, 창작자들의 대화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내 자리에서, 제한된 상황에서의 또 다른 발견

한국에서는 무용과 서커스 분야에서 활동하는 독립예술가 강은라, 고블린파티의 안무가이자 무용수인 이경구, 신체극과 오브제극을 창작하는 작은극장H의 한혜민이 참여했다. 태국 치앙마이의 산골에서 연극을 하는 논타왓 마차이(Nontawat Machai)가 합류했고, 일본에서는 무용단 모몽가 콤플렉스(Momonga Complex)의 안무가 모모코 시라가(Momoko Shiraga)를 비롯한 안무가와 무용수들이 함께했다.

공연은 매주 월, 수, 금요일 한국 시간 8시에 페이스북 페이지에서 공개되었는데, 우리는 이것을 상영이라고 생각하지 않고 관객들을 만나는 공연이라고 생각했다. 공연이 예정되어 있는 날이면 어김없이 서로의 작업을 보며 댓글과 메시지로 이야기를 나누었고, 이 과정은 축제처럼 이어졌다.

프로젝트 시작 전, 참여하는 예술가들과 온라인에서 화상 회의를 했을 때, 누군가 각 공연을 이어나가기 위해 서로 어떤 작업을 할지 미리 상의해야 하는지 질문했다. 하지만 우리는 사전 논의와 설계를 최소화하고, 앞서 발표한 이의 공연을 본 뒤 주어진 시간 동안에 자신의 공연에서 이를 이어갈 방식을 스스로 찾는 것으로 방식을 결정했다. 각 창작물이 주는 영감과 표현 방식이 대화의 도구가 되게끔 한 것이다. 무언가를 설계하지 않고, 앞의 공연이 공개된 후 짧은 시간 안에 연결 지점을 찾는다는 것이 처음에는 어렵게 느껴졌지만, 각자의 결과물들은 이 단순한 규칙과 장치들을 활용하며 제법 흥미롭게 이야기들을 전개해냈다.

‘내 자리에서(In Own Space 3)’ 화상 회의 ‘내 자리에서(In Own Space 3)’ 화상 회의

공연은 지금 나의 자리가 어디인지를 질문하는 것으로 시작하여, 서로의 장소에 대한 호기심으로 이어졌다. 집 앞 정원의 메마른 우물에서 묵직하게 부토 공연을 하며 진지한 분위기를 이어가던 논타왓의 공연은 촬영 중 문득 도착한 배달원이 건넨 음식을 건네받으며 무심하게 끝났고, 다음 공연에서 그 음식을 강가에서 펼쳐 놓고 먹으며 아무도 없이 홀로 피크닉을 즐기던 리에 우수이(Rie Usui)는 너른 강에서 수영하며 혼자만의 잔치를 즐겼다. 이경구는 밖에 나가지 못하고 집에만 머무르는 아버지에게 비로소 자신이 만든 안무를 가르쳐드리는 작업을 만들었다. 이어 카윈 역시 돌아가신 아버지를 떠올리며, 아버지의 옛 사진들이 자신의 몸을 통해 동작으로 이어지는 방식을 통해 아버지가 자신에게 춤을 가르치는 장면들을 만들어 냈다. 우리는 화면을 통해 서로의 집, 옥상, 자가용, 이웃 동네를 여행했고, 각자의 공간에서 저마다의 시선으로 담아낸 공연들을 감상했다.

무대나 공연장이 아니라 자신의 자리로부터 새로운 공연 공간을 찾아냈던 과정 역시 흥미로웠다. 연습실을 사용할 수 없게 되어 옥상에서 줄타기 연습을 하던 강은라가 만들어낸 장면도 그랬고, 창밖에 비가 하염없이 내리던 날 좁은 방안에서 오브제들을 늘어놓고 작은 무대를 만들어낸 한혜민의 작업도 그랬다. 공연은 전형적인 무대를 탈피할 뿐만 아니라 이를 온라인, 영상이라는 도구로 전달하기 위해 창작의 첫 설계에서부터 기존의 공연과는 다른 방식의 고민을 하게 했다. 공연이 영상화되었을 때 이야기를 효과적으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한지, 촬영과 편집, 전달의 방법을 함께 생각해야 했기 때문이다.

한국의 강은라, 일본의 유키타가와, 태국의 논타왓 마차이의 공연 장면 한국의 강은라, 일본의 유키타가와, 태국의 논타왓 마차이의 공연 장면
(왼쪽 위부터 시계방향)

예술가들이 서로의 작품을 통해 어떤 대화를 주고받는지, 관객들은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는지 관찰하는 것이 무척 즐거웠다. 그리고 이 작은 온라인 잔치를 통해 여전히 우리가 만남을 그리워하고 있으며, 창작과 교류를 통해 연결되기를 원한다는 것을 확인했다.

“눈을 마주치며 소통하지는 못했지만 작업을 통해 함께 대화를 나누는 듯했다. 우리는 여전히 공존하고
있으며, 누군가와 함께한다는 사실이 나의 삶과 창작에도 큰 원동력이 되었다.”
- 독립예술가 강은라
“각자의 작업에 대해 다른 예술가들에게 언어로 설명하지 않았음에도 불구하고 서로의 이야기가 연결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한 것, 이 연결의 시도가 어떻게 표현되고 이어지는지를 보는 것이 흥미로웠다.
예술가들이 비로소 자신의 자리에서 각자의 색깔로 독립적인 창작을 한다는 것도 좋았다.”
- 작은극장H 한혜민
“세상이 마비된 지금, 각자의 공간에서 안부를 묻는 과정을 통해 어떤 작품이 만들어질까 궁금했다.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나의 자리는 어디인지 질문했고, 다른 이들이 어떤 향기를 가지고 살고 있는지 엿볼
수 있었다.”
- 고블린파티 안무가, 무용가 이경구

각자의 자리가 서로에게 영감을 주며 영향을 미친다는 것, 창작으로 서로 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고, 새삼 무언가를 창작한다는 것이 우리에게 참 소중한 일이었다는 것을 기억했다. 3주 동안 매일 작품을 기다리며 설렜다는 누군가의 말을 들으며, 우리는 언젠가 다시 국경을 넘고, 전염병을 넘어 무언가를 함께 만들기로 약속했다. 우리에게는 어쩌면 이 시기를 통해 발견하게 된 새로운 대안이 있다. 어쩌면 새로운 방식의 국제 교류는 복잡한 것이 아니다. 보다 다양한 방식으로 이전에 해보지 않았던 시도들이 풍성해지는 것이 제법 즐겁다. 이 시간이 앞으로의 일들을 견뎌낼 작은 힘이 되기를 바란다.

1) 지난 4월 진행된 ‘In Own Space 1’에는 태국의 예술가 15명이 참여했고, 이어진 ‘In Own Space 2’에는 태국의 예술 전공자 및 예술 대학의 학생들이 참여했다. 당시에는 페이스북 이벤트 기능을 활용하여 창작된 공연을 상영하였고, 이후 ‘In Own Space 3’을 진행하며, 프로젝트의 한국 이름을 ‘내 자리에서’로 번역하였고, 일반 관객과의 소통 및 상영을 위한 페이스북 페이지가 개설되었다.

  • 임현진
  • 필자소개

    임현진은 독립 프로듀서로, 도시·공간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여러 축제, 예술단체들과 함께 일하고 있다. 공연을 하며 만난 세상을 이야기하고, 재미난 질문들을 찾아내기에 몰두한다. 거리예술축제 기획자로 하이서울페스티벌과 안산국제거리극축제를 거쳐, 포항거리예술축제, 과천축제에서 일하고 있으며, 공동체를 위한 예술, 공간 민주화의 관점에서 예술의 역할에 대해 고민하는 실험과 시도들을 추구한다.
    블로그

  • 페이스북 바로가기
  • 트위터 바로가기
  • URL 복사하기
정보공유라이센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