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

단체명 종군화가단
구분
표기
  • 국문

    종군화가단
  • 영문

    jonggunhwagadan (artists documenting the Korean War for the government)
  • 한문

  • 중문

    随军画家团
  • 일문

    従軍画家団
이칭/별칭 -
소개 한국전쟁 직후에 결성된 국방부 정훈국 미술대 산하의 조직이다. 한국전쟁 직후에 대구로 내려와서 각 학교의 미술 교사를 중심으로 꾸려졌으며, 서울 수복 이후에는 서울의 미술인이 합세하며 규모가 커졌다. 종군화가단은 지역(대구, 부산, 광주)과 군대(해군, 공군, 육군)에 따라 여러 조직으로 꾸려졌으며, 국방부 종군화가단은 이들을 대표하는 본부 조직이었다. 종군 미술가들은 한국전쟁 기간 동안에 10회 이상의 전쟁기록화전을 진행하였다. 1회는 1951년 3월에 대구공보원에서 개최된 국방부 『종군화가단 소품전』이었고, 마지막 전시는 1953년 5월 4일에 부산에서 열렸다.
소개(영문) An organization formed after the outbreak of the Korean War. Its parent organization was the Bureau of Troop Information and Education of the Ministry of Defense. After the outbreak of the War, the organization was formed in Daegu by art teachers from each school. Once Seoul was recaptured by the South, artists based in Seoul joined and the association expanded. The military artist group consisted of multiple groups, divided by region—Daegu, Busan, and Gwangju—and military branches—Navy, Air Force, and Army. The military artist group was the headquarters that oversaw all these groups. The war painters held over 10 war documentary painting exhibitions over the course of the Korean War. The first was the Military Artists Prop Exhibition of the Ministry of Defense, which was held in March 1951 at the Bureau of Public Information in Daegu. The last exhibition was held in May 4, 1953.
소개(중문) 指韩国战争爆发后不久成立的国防部政训局美术队的下属组织。韩国战争爆发后不久便前往大邱,将各个学校的美术老师组织起来,在夺回首尔后又有首尔当地的艺术家参与进来,因此规模变大。根据地区(大邱、釜山、光州)和军队(海军、空军、陆军)不同,可分为多个组织,而国防部随军画家团作为本部组织,代表了所有随军画家团。在韩国战争时期,随军艺术家们举办了10次以上的战争记录画展。1951年3月,在大邱公报院举办了首届展:国防部“随军画家团小品展”;1953年5月4日,在釜山举办了最后一次展览。
소개(일문) 朝鮮戦争の直後に結成された国防部政訓局美術隊傘下の組織。朝鮮戦争の直後に大邱に下ってきた各学校の美術教師を中心に結成され、ソウル奪還後にはソウルの美術家たちが合流して規模が大きくなった。従軍画家団は地域(大邱、釜山、光州)と軍隊(海軍、空軍、陸軍)によって様々な組織として結成され、国防部従軍画家団はこれらを代表する本部組織だった。従軍美術家たちは、朝鮮戦争の期間中に10回以上の戦争記録画展を行った。第1回は1951年3月に大邱公報院で開催された国防部「従軍画家団小品展」で、最後の展示は1953年5月4日に釜山で開かれた。
웹사이트
관련용어  
비고 『한국현대미술의 역사: 한국미술사사전 1945-1961』 (최열, 열화당, 2006, pp. 284-285.); 「한국전쟁기 남한 미술인의 전쟁 체험에 대한 연구: 종군화가단과 유격대의 미술인을 중심으로」(조은정, , 『한국문화연구』 3, 2002.)
관련용어 김원(본명 김원진)(金源)김인승(金仁承)김중현(金重鉉)김흥수(金興洙)박득순(朴得錞)박성환(朴成煥)박영선(朴泳善)손일봉(孫一峰)윤중식(尹仲植)이마동(李馬銅)이세득(李世得)이순석(李順石)이유태(李惟台)장발(張勃)장우성(張遇聖)  박득순, 장발, 이마동, 박성환, 윤중식, 박영선, 김중현, 이순석, 손일봉, 김인승, 이유태, 이세득, 장우성, 김원, 김흥수
lo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