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술을 접하는 외국인들에게
양질의 한국미술 용어의 번역안을
제안함으로써 올바른 인식 유도
한국미술과 관련된 외국어(영문·중문·일문)
자료 발간 및 번역에 활용 가능한 20세기
한국미술 주요 용어의 외국어 표기지침을
마련하며 번역 권고안 제안
시각예술 현장에 공신력 있는 기초자료를
유포함으로써 현재 혼용되고 있는
한국 현대미술관련 번역 용어 및
정보의 통일성을 높이는 것이 목적
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은 매해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제작됩니다.
1. 20세기 한국미술 관련 문헌 및 DB 조사를 통해 마련된 용어풀 내 미술용어 선정 및 해제
2. 선정 용어에 대한 번역 사례 조사를 통해 다국어 번역 표기 권고안 및 가이드라인 제시, 해제 번역
업은 문화체육관광부 주최, (재)예술경영지원센터 주관으로 운영되며, 전문성을 갖춘 사업수행기관의 과업수행과 추진위원회의 검토의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1차년도 사업 수행기관(2017) |
---|
(사)한국미술연구소 이화여자대학교 통역번역대학원
|
2차년도 사업 수행기관(2018) |
---|
한국예술종합학교 한국예술연구소 주식회사 이윤 총괄책임 영어 일본어 중국어 |
3차년도 사업 수행기관(2019) |
---|
[연구팀]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연구책임 연구참여 |
[번역팀] ㈜이윤 총괄책임 영어 일본어 중국어 |
4차년도 사업 수행기관(2020) |
---|
[연구팀]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연구책임 연구참여 연구보조 |
[번역팀] ㈜이윤 총괄책임 영어 일본어 중국어 |
한국미술 다국어 용어사전은 본 홈페이지를 통해 연구 결과물을 공유하면서 현장과 함께 검토하고, 보완하며 완성해가는 프로젝트입니다.
인명 및 단체명 추가, 내용 수정 및 보완에 적극적인 참여 부탁드립니다.
일러두기
닫기한국 미술의 근대, 현대 시기 상정의 모호함과 대상 용어의 시기적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20세기’로 한정하였으며, 용어 선정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의 비중은 각각 30:70으로 구성하였음. 동시대 한국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운동 및 단체 정보와 동향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음
미술용어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
||||||||||||||||||
대응역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단체 및 기관 | 번역사례 |
---|---|
**협회 | association, society |
**회 | society, institute |
**동인회 | associates (colleague, 등과 같이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임) |
**연립 | coalition |
**미술회 | association, institute, school |
**원 | academy, school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대응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미술용어인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직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로서 일본식 한자로 변환한 경우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