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지의 대륙, 중국에 세계인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비단 아시아인프라투자은행(Asian Infrastructure Investment Bank) 설립을 위시한 국제금융시장에서 높아진 중국의 위상 때문만이 아니다. 오랜 역사와 풍부한 물적, 인적 자원을 가진 중국에 거는 세계인의 기대는 문화예술산업에 대해서도 마찬가지다. 공연예술 분야에서는 이미 베이징, 상하이, 광저우, 항저우, 시안 등 주요 도시에 대규모 공연장인 국가대극원이 들어서 창작과 유통을 주도하고 있다. 또한 시각예술 분야에서는 이른바 차이나머니를 가진 수퍼 컬렉터들이 중국뿐 아니라 세계 각국의 미술시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Weekly@예술경영》이 가깝고도 먼 나라, 중국의 문화예술산업을 둘러싼 다양한 환경과 정책, 기업문화, 그리고 예술시장을 소개하고 예술경영적 담론을 만들어 나가고자 한다. 독자 여러분의 많은 관심 바란다.

중국의 예술문화 공연시장의 보다 빠른 이해를 돕기 위해 본장에서는 다음과 같이 구분하였다. ①시장의 규모와 동향을 알아보고 ②예술공연 단체 및 공연장(극장)의 운영 실태와 ③주요 장르별 예술공연시장의 특징 및 ④가장 대중적인 현장음악 라이브콘서트(演唱會) 시장을 분석토록 한다. 그리고 다음으로 ⑤중국의 예술 공연시장에서 가장 핵심적인 기능을 하는 수도 베이징 시의 예술공연시장을 일별하고 ⑥무한한 문화 자원을 가진 중국 특유의 문화예술과 관광을 접목하여 성공한 인상(印象) 시리즈 공연 행사를 분석하며 ⑦앞서 일부 언급하였듯 2013년부터 시행에 들어간 근검절약 정책 시행 이후의 예술공연시장에 대한 영향 등을 살펴보고 끝을 맺으려 한다.

시장의 규모와 동향

이미지

중국의 예술공연 산업시장의 경제적 규모는 2013년 463억 위안(亿元)(미화 약 75억 9402만 달러)로 2012년에 비해 9%가 감소된 규모이며 티켓 판매 수입은 131.04억 위안(亿元)(미화 약 21억 6405만 달러)으로 이 또한 전년도보다 2.9%가 줄었다고 “2014 Chinese Culture Enterprises Report”에서 밝히고 있는데 이러한 현상은 2013년부터 시행에 들어간 근검절약 정책과 무관치 않다. 어쨌든, 2013년 규모를 한화(韓貨)로 환산하면 약 8조 3340원에 이르는데 엄청난 시장임에는 틀림이 없다.

그런데 “2012 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中國文化部編)”에 의하면 2011년도 중국의 예술공연시장 규모는 239.73억 위안(亿元)(미화 약 38억 469만 달러)인데 이는 티켓 판매 수입 120.83억 위안(亿元)(미화 약 19억 1766만 달러)과 예술공연산업이 직접 부가가치를 유발시키는 ①관광산업 수입 44.5억 위안 ②조명·무대미술산업 수입 41.7억 위안 ③의상산업 수입 17.6억 위안 ④오락산업 수입 15.1억 위안을 합친 경제적 가치의 시장 규모이다.

“2014 China Social Statistical Yearbook”과 “중국문화문물통계연감(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2014”의 자료에 의하면 2013년 말 기준, 중국에는 정부로부터 등록허가증을 받은 예술공연 단체가 8,180개가 있고 이 단체에는 총 260,865명의 인력이 각종 예술공연 활동을 이어가고 있으며 이들 단체가 국내외 총 1,651,100회 공연을 통하여 900,642,500명이라는 관객을 확보한 것으로 되어 있다. 또한 이들 단체는 국가재정지원금 139억 3,811만 위안(万元)(미화 약 23억 256만 달러)과 예술공연 수입 82억 737만 3천 위안(元)(미화 약 13억 5540만 달러)를 포함하여 사업 수입, 상급기관 보조 수입, 부속 단위 납입금 수입, 운영 수입, 기타 수입 등을 합하여 총 280억 266만 위안(미화 약 46억 2449만 달러)의 수입을 거두었다. 수입의 49.77%가 국고보조 수입이다. 그러나 정부 등록 여부에 관계없이 민영예술공연 단체 수가 10,953개가 있는 것을 감안하면 예술공연시장의 규모는 훨씬 늘어난다.

그리고 예술공연장(극장) 상황을 보면 민영극장을 제외한 예술공연장(극장)이 1,344개로 여기에는 26,036명이 1,027,946개의 좌석을 보유한 극장들을 관리·운영해 오고 있다. 총관객 7776만 명을 확보했으나 이 중에 예술공연 관객은 34.2%인 2662만 명에 지나지 않고 총수입도 42억 6361만 위안(万元)(미화 약 7억 411만 달러)에 이르고는 있으나 예술공연으로 얻은 수입은 고작 19.3%에 해당하는 8억 2489만 위안(万元)에 머문다.

그러나 예술공연 활동은 극장 내에서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 아니라 대형 체육관이나 TV방송국 특설 무대 및 야외 공연장등에서도 활발히 전개되고 있고 현장음악 콘서트(演唱會)나 빠오창(包場), 인터넷 공연시장 상황 등을 감안하면 예술공연시장에서의 극장 내 공연 규모는 큰 비중을 차지한다고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중국의 예술공연시장은 베이징(北京), 상하이(上海), 광저우(廣州) 등 이 3개 시가 시장 전체 규모의 70% 내외를 차지하고 있고 티켓 판매액으로 국한할 경우 베이징과 상하이 이 두 시가 전체의 30% 전후를 차지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급속한 경제 성장과 더불어 성(省) 정부 소재지인 성회(省會) 도시와 제2, 제3의 도시로 계속하여 확산되어 가고 있는 추세이다.

그런데 2012년12월 당(党) 중앙의 사치 낭비 풍조에 반대하는 “대중들에게 관계가 밀접한 공작작풍개진에 관한 8항 규정(關于改進工作作風密切關系群衆的八項規定)” 소위 약칭 “팔항규정(八項規定)”이 나온 이후 이의 관철을 위해 2013년 8월 ①중앙선전부(中宣部) ②재정부 ③문화부 ④심계서(審計署) ⑤국가신문출판광전총국(國家新聞出版廣電總局) 등 5개의 부가 “호화포장제지와 만회근검절약제창에 관한 통지(關于制止豪華鋪張,提唱節儉辦晩會的通知)를 공동으로 공포·하달함으로써 예술공연시장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는데 2013년 추석(仲秋節)과 10월 국경일의 TV방송국의 대형 음악 쇼프로인 만회(晩會) 행사가 69%나 줄어들었고 2014년 원단(元旦)에는 55%가 감소했다. 중국 중앙텔레비전 방송국(CCTV)은 2013년 9월부터 12월까지 17개의 만회(晩會) 프로가 줄었고 2014년에도 56개의 만회(晩會) 프로가 감소했다고 한다.

특히, 문화부문 소속의 예술공연단의 구조조정이 진행되어 예술공연단 수도 61개가 감축된 2,067개가 되고 이에 따라 근무 인력도 3,044명을 줄인 117,004명에 이르렀으며 공연 횟수도 398,100회로 전년 대비 0.9%가 줄었다. 또한 국내 관객도 3.2%의 감소세를 가져왔고 예술공연 수입도 무려 35.2%가 줄었다고 전해진다.


예술공연 단체와 공연장(극장)

이미지

정부의 등록허가증 발급 여부와 관계없이 예술공연 단체의 수는 매년 계속하여 증가하고 있고 관객 역시 꾸준히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최근 3년간의 중국의 예술공연 단체 수의 변화와 주요 활동을 보면 아래 표와 같이 설명될 수 있다.


최근 3년간 중국의 예술공연 단체 주요 활동 현황

▲출처: ①2014 China Social Statistical Yearbook(p.174-175), ②2013China Social Statistical Yearbook(p.188-189), ③2012 China Social Statistical Yearbook of Tertiary Industry(p.489), ④2014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⑤2013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⑥2012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자료 재정리



상기 표에서 향(鄕)·진(鎭) 이하인 농촌의 관객 수가 전체 관객 수의 60% 전후를 차지하고 있어 티켓 판매 수입 측면에서는 상대적으로 도시 관객보다 수입이 덜할 수는 있으나 이들은 잠재적 관객으로 예술공연 산업시장에서 결코 경시해서는 안 될 고객들이다.

2013년의 경우를 보면 해외 공연 횟수가 23,000여 회에 이르고 있어 국제간의 예술공연 교류도 활발하게 진행되었고 특히 1개의 예술공연단이 연간 평균 199차례의 공연 활동을 진행한 것은 예사롭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8,180개의 예술공연 단체의 연간 공연 작품 수를 보면 1,357개의 각종 작품을 관객들에게 선보였고 2011년도는 1,588개, 2012년은 대폭 증가하여 4,035개 작품이 중국의 다양한 문화 향수층들에게 향수(享受)된 것으로 분석된다.

그런데, 여기서 민간 전문직업예술단(劇團)들의 활동이다. 이들 민간 전문직업예술단(劇團)들의 주요 활동을 아래 표와 같이 자료를 모아 보았다.


2011년-2012년간 중국의 민간 전문직업 예술단(劇團) 주요 활동 현황

▲출처: ①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2(p.188-189), ②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3(p.192-193) 자료 재정리



이들의 연간 평균 공연 횟수도 2011년도는 304회로 대폭 늘어났으나 2012년도는 문화부문 소속의 국유 예술공연 단체들과 비슷한 188회에 머문다. 특히 국가의 재정보조 부문에서는 2011년 전체 국가재정보조금 89억 7,100만 9천 위안의 0.84%인 7,581만 1천 위안에 머물렀고 2012년도에도 전체 국가재정보조금 114억 718만 2천 위안의 12.9%에 지나지 않은 14억 7,365만 위안에 머물고 있어 민영예술공연단들은 생존을 위한 치열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음을 읽을 수 있다.

이들의 예술공연 수입을 보면 2011년도에는 예술공연단 전체 수입의 39.8%인 21억 19만 4천 위안을, 2012년에는 예술공연단 전체 수입의 55.78%인 35억 7,807만 6천 위안을 벌어들인 것이 이를 증명한다.

그리고 상기 표에 언급되고 있는 내용 중 예술공연 수입이라는 것은 예술공연의 티켓 판매 수입과 초청 공연 형식인 빠오창(包場) 공연에서의 수입 등이 포함되고 정부가 티켓 값을 대신 지불해주는 정부 주선 공익성 공연 보조수입은 제외되어 있어 이를 포함할 시에는 규모가 다시 늘어난다. 다음은 예술공연시장에서 빼놓을 수 없는 예술공연장인 극장의 최근 3년간의 운영 상황을 살펴보면 대체적으로 다음 표와 같이 정리가 될 수가 있다.

최근 3년간 중국의 예술공연장(극장) 주요 운영 현황

▲출처: ①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4, ②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3, ③中國文化文物統計年鑒 2012 자료 재정리
▲주: : 2013년도의 데이터는 민영예술공연장(극장)이 포함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임



중국의 예술공연장(극장)도 예술공연만 진행하는 것이 아니라 공연 활동이 없는 날 등에는 영화 상영 등에 극장을 임차하는 등 다용도로 활용하여 수입을 최대화하고 있다.

2013년의 경우 예술공연장(극장)의 총수입이 42억6,361만 위안(元)인데 비해 예술공연으로 벌어들인 금액은 8억2,488만8천 위안으로 전체 수입의 19.35%에 머문다. 민영예술공연장(극장)을 제외한다고 해도 예술공연장(극장)의 연간 총공연(또는 상영) 횟수에서 예술공연 횟수는 겨우 7.96%에 불과하고 관객 수도 34.24% 수준에 있다. 따라서 예술공연장(극장)으로서는 예술공연만 바라보고 극장을 운영할 수만은 없는 상태이다.

그런데 이 밖에도 각종 대중문화 서비스 기능을 갖춘 Cultural Center(文化館 3,315개/文化站: 40,945개)가 전국에 44,260개가 산재해 있다. 이를 행정구역별로 보면 ①비교적 규모가 큰 성급(省級) 및 지시급(地市級) Cultural Center가 2,930개, 그리고 우리의 읍·면 정도에 해당하는 ③향·진(鄕,鎭)의 Cultural Center(文化站)이 40,945개가 그것이다. 이러한 숫자는 대체적으로 행정구역 숫자와 비슷한 규모인데 현재 중국의 행정구역을 보면 성급(省級) 및 지시급(地市級)이 366개가 있고 우리의 군(郡)행정조직과 비슷한 현급(縣級)은 2,853개, 향·진(鄕鎭)은 40,466개가 이를 말해준다. Cultural Center는 모두 무료이며 소요 예산은 중앙과 지방재정에서 부담하는데 지시급(地市級) Cultural Center에는 연간 50만 위안(한화 약 9천만 원), 현급(縣級)은 연간 20만 위안(한화 약 3600만 원), 그리고 향진급(鄕鎭級)에는 연간 5만 위안(한화 약 9백만 원)을 기준으로 하여 지급하는 것으로 “2014문화발전통계분석보고(2014文化發展統計分析報告/中國文化部編)”에서 밝히고 있다.

그리고 2001년 이후 건립된 Cultural Center(文化館)은 1,554개, 또 다른 Cultural Center(文化站)는 32,947개로 전체의 77.9%인 34,501개의 Cultural Center가 대체적으로 15년 이하의 비교적 새로운 건물인 셈이다.


※ 이어지는 2부 기사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Ⅱ



참고링크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주요 환경Ⅰ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주요 환경 Ⅱ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음악시장Ⅰ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음악시장Ⅱ

필자소개 필자소개
유재기는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한·중문화비교 연구를 했으며 주중 한국대사관에서 1등 서기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 해외홍보원에서 해외홍보과장, 문화교류과장으로 근무를 했다. 또한, 주중 한국대사관 참사관, 대한민국예술원 사무국장, (재)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사무처장을 거쳐 현재 (사)한·중문화예술포럼에서 회장직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수교 이후 한 중 문화 교류사』, 『한눈에 알아보는 중국의 문화산업 시장』이 있다.
  • 페이스북 바로가기
  • 트위터 바로가기
  • URL 복사하기
정보공유라이센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