칼럼_유재기

현장음악 라이브콘서트(演唱會)

1) www.baidu.com 중국의 검색 포털 사이트

콘서트는 일반적인 극장에서보다 대형 체육관(장)이나 임시 야외 특설무대에서 진행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중국에는 원(院)이나 단(團)에 소속되어 있지 않은 연기자들이 수십만 명에 이르고 Baidu(百度)1)에 수록된 중국어(華語) 가수만 7,000-8,000여 명이며 음반사(홍콩, 대만 포함)와 계약 관계를 유지하고 있는 가수들도 1,000-2,000여 명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가수들은 개인콘서트(演唱會), 그룹콘서트(拼盤), 뮤직페스티벌(音樂節), TV방송국에서 주요 경축일이나 명절날 저녁에 진행하는 대형음악 쇼프로인 완후이(晩會), TV방송국의 예능 프로의 하나인 우수 가수 선발 대형음악쇼(選秀歌會), 기업들이 영화관 또는 강당 등 특정 시설에서 개인 및 단체 특별 초청공연(包場), 각급 회사주관 노래 대회 및 야간 음악 공연쇼 등 다양한 음악 공연 행사 등에 출연한다.

콘서트 유형

마이크

각종 현장음악 라이브콘서트 유형으로는 대체적으로 3-4가지로 구분할 수 있는데 ①왕페이(王菲), 류더화(劉德華), 장후이메이(張惠妹), 장쉐요우(張學友) 등 1급 유명 가수들이 출연하는 콘서트, ②천지전(陳綺貞), 수따뤼(蘇打綠), 차이젠야(蔡健雅) 등 비주류 가수들이 출연하는 소규모 콘서트로 샐러리맨 넥타이층을 대상으로 성공을 거두고 있는 경우 ③청소년을 주요 소비층으로 하는 리유춘(李宇春), 장제(張杰), 장잉롱(張暎蓉) 등 우수 가수들을 선택하여 진행하는 콘서트, ④해외 인기 가수(그룹 포함) 초청 대형 콘서트가 일반적이다.

콘서트 티켓 값

왕페이(王菲) 같은 일류 가수들은 최근까지도 인기가 대단히 높아 VIP 좌석의 경우 매당 3,000위안(元)(미화 약 485달러)에 판매되는 경우도 허다하다. 상업 공연 티켓 값의 빠른 이해를 위해 베이징 시의 상업적 예술공연 장르별 티켓 값을 아래와 같이 비교표를 정리해보았다.

2) 중국(中國)에서, 대화(對話)를 중심(中心)으로 하는 신극을 구극에 대(對)하여 일컫는 말

2012년도 베이징 시 상업적 예술공연 장르별 티켓 값과 좌석 점유율

▲출처: 국제문화시장보고(國際文化市場報告) p.39 자료 재정리
주: “국제문화시장보고(國際文化市場報告)”는 중국 문화부 대외문화연락국(中國文化部對外文化聯絡局)의 보조사업인 “국제문화시장연구(國際文化市場硏究)”의 성과물 보고서임


해외 유명가수 초청 대형 콘서트(演唱會)를 제외하고는 국내에서도 매당 티켓 값은 현장음악 라이브콘서트(演唱會) 티켓 값이 570위안(元)(미화 약 95달러)으로 가장 높다. 그만큼 중국의 예술공연시장에서도 대중성이 강한 음악콘서트가 인기가 크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콘서트(演唱會)시장 규모

중국의 “2012 문화발전통계분석(Statistical Analysis on Cultural Development)”에서는 예술공연시장의 주요 수입원(收入源)을 ⓵예술공연전문극장 티켓판매수입, ⓶관광테마공연수입, ⓷현장음악라이브콘서트(演唱會)수입 등으로 분류하고 2011년도 예술공연 총수입 120.83억 위안(亿元)(미화 약 19억 1767만 달러)에 대한 수입원(收入源)별로 분리하였는데 이를 다시 정리하면 아래 표와 같다.

2011년도 중국 예술공연시장 공연장 및 분야별 수입원 현황

▲출처: 2012 문화발전통계분석보고서(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 p.52-53 자료 재정리
주: 상기 데이터는 상업 공연을 근거로 하여 작성된 것임.

상기 표에 나타나듯 현장음악 라이브콘서트(演唱會)가 공연 횟수는 884회로 상대적으로 많지 않으나 수입은 23.49억 위안(亿元)(미화 약 3억 7280달러)으로 1회 공연당 265만7,240위안(元)(미화 약 42만2,000달러)의 수입을 창출하고 있어 역시 가장 높다. 따라서 시장성이 가장 강하다는 애기가 된다.

콘서트 2012년도에 와서는 각종 현장음악 라이브콘서트(演唱會)에서 개인 콘서트가 800회 전후로 약 16억 위안(亿元)의 수입과 그룹 콘서트는 100여 회 약 4억 위안(元)의 수입을 확보했으며 뮤직페스티벌도 약 200여 회에 걸쳐 2억 위안(亿元)의 수입을 각각 가져온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여기서 말하는 뮤직페스티벌(音樂節)을 보면 음악과 공연을 융합한 콘서트로 중국에는 10여 개의 뮤직페스티벌이 개최된다.

즉, ①스트로베리 뮤직페스티벌(草莓) ②미디뮤직 페스티벌(迷笛) ③모던스카이 뮤직페스티벌(摩登) ④스노우마운틴 뮤직페스티벌(雪山) ⑤지브라 뮤직페스티벌(熱波) 등 각종 뮤직페스티벌이 해마다 개최되어 젊은이들의 필수 코스로 자리 잡혀 가고 있다. 그리고 뮤직페스티벌이라고 하면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모던스카이 뮤직페스티벌(摩登)인데 이는 1997년 12월 모던스카이 유한공사가 창설을 했다.

한편 중국 최대의 부동산개발 기업인 헝다(恒大) 그룹이 헝다(恒大) 뮤직의 지방시장 공략의 일환으로 2013년 9월부터 3개월간 전국 각지에서 총 20회의 “헝다(恒大)뮤직페스티벌”을 개최하여 회당 15,000명에서 20,000명 수준의 관객을 유치, 총50만 명의 관객을 모아 주위의 부러움을 샀다. 2014년도에는 총 50회에 달하는 헝다뮤직페스티벌 개최를 전문가들은 전망했다.

베이징 시(北京市) 공연시장

2013년 말 현재 기준, 수도 베이징 시에 소재하고 있는 상업적 예술공연장(극장)이 123개가 있는데 이들 공연장들은 연간 23,155회의 공연으로 1014만 명의 관객 확보와 14억 4237만 위안(万元)(미화 약 2억 3820만 달러)의 공연 수입을 가져 왔다. 베이징 시의 중국 예술공연시장 전체에서의 영향력이 가장 큰 점을 감안, 최근 5년간의 공연 횟수와 수입액을 파악해 보았다.

최근 5년간 베이징 시 예술공연 횟수 및 수입 현황

▲출처 : ①2011-2012년 중국 연예산업 투자보고(2011-2012年中國演藝産業投資報告) p.6, ②중국문화산업연도발전보고(中國文化産業年度發展報告, 2012) p.192, ③중국문화산업연도발전보고(中國文化産業年度發展報告, 2011) p.168, ④2013 문화발전통계분석보고서(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 p.68, ⑤2014 문화발전통계분석보고서(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 p.55 자료 재정리

그런데 지난 3년간 예술공연 수입이 크게 늘어나지 않고 14억 위안대에 머물고 있다. 그리고 베이징 시에는 각종 예술공연 단체가 2012년 말 기준하여 총 555개가 있는데 ①중앙 및 기타 부위(部委) 소속 단체가 17개 ②구(區)와 현(縣)소속이 7개 ③사회단체 소속이 가장 많은 503개 ④군부대 및 학교 소속은 17개 ⑤실제 베이징 시 소속은 11개에 불과한 것으로 중국 문화부가 펴낸 “2013 문화발전통계분석보고서(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에서 밝히고 있다.

2013년도에 이 11개의 예술공연단들이 총 8662회의 공연을 통해 전년도보다 11%가 증가한 397만 명의 관객을 유치하여 2012년도보다 13%가 늘어난 2.0억 위안(亿元)의 예술공연 수입을 창출했다. 예술공연의 좌석률도 그렇게 높지 않은 60% 전후를 유지한다.

2012-2013년도 베이징의 예술공연장 규모별 좌석률

▲출처: 2014 문화발전통계분석보고서(Statistical Analysis Report on Cultural Development),p.56 자료 재정리



※ 1부, 2부, 4부 기사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Ⅰ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Ⅱ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Ⅳ



※ 참고링크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주요 환경Ⅰ / 경제지표와 인구, 국가 투자, 그리고 네티즌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주요 환경 Ⅱ / 인프라 건설과 문화 소비, 그리고 정책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음악시장Ⅰ / 음반시장 및 온라인 음악시장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음악시장Ⅱ / 무선 음악시장 외



필자소개 필자소개
유재기는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한·중문화비교 연구를 했으며 주중 한국대사관에서 1등 서기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 해외홍보원에서 해외홍보과장, 문화교류과장으로 근무를 했다. 또한, 주중 한국대사관 참사관, 대한민국예술원 사무국장, (재)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사무처장을 거쳐 현재 (사)한·중문화예술포럼에서 회장직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수교 이후 한 중 문화 교류사』, 『한눈에 알아보는 중국의 문화산업 시장』이 있다.

  • 페이스북 바로가기
  • 트위터 바로가기
  • URL 복사하기
정보공유라이센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