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f)
이명박 대통령이 방송에 관여할 뜻은 없으니 ‘가운데만 갖다 놓으라’고 했다고 한다. 이 말을 전한 신재민 문화체육관광부 차관은 ‘정부의 방송 개입’이 아니냐는 질문이 들어오자, 대통령의 말이 아니라 자신의 ‘해석’이며, 해당 방송도 ‘KBS';에 한정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몇몇 신문에서 정말 그 말을 한 사람이 누구인지, 진의는 또 무엇인지에 대해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했지만, 내 머릿속에 떠오른 것은 <지식채널e>를 처음 맡았던 지난 8월 초의 상황이었다.
프로그램을 처음 맡은 나에게 처음 들어온 주문들 중 하나가 바로, ‘프로그램의 편향성’을 바로잡아달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그 반대편에서 좁게는 현 정부, 넓게는 신자유주의 비판을 더 강하게 해 달라는 주문도 있었다. 그런 주문들이 들어오기까지의 과정을 일일이 설명할 수는 없고(궁금하신 분들은 ‘지식채널e 17년 후’를 검색해 보시면 알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새로 프로그램을 맡은 시점에, 그렇게 ‘이념적’인 주문들이 양쪽 모두에서 너무 강하게 들어왔다는 상황만 말하고 싶다. 나는 그것이 불편했다. 우선 그런 주문들이 너무 비겁하거나 너무 폭력적이라는 것이 불편했고, 그 불편함 때문만은 아니었겠지만, 양쪽의 요구를 모두 감안하여 적절하게 균형을 맞춘 프로그램을 ‘계산’해서 만들 자신은 없었다. 그래서 내린 결정이 ‘우선 스스로에게 거짓말하지는 말자’라는 다소 생뚱맞은 다짐이었다. 그렇게 스스로에게 솔직한 프로그램을 만든 다음, 그 결과로 무슨 일이 발생하든 그때그때 부딪혀보자’ 는 마음이었다.
스스로 ‘좌파’다 혹은 ‘우파’다 라고 씩씩하게 말하는 사람들을 믿지 않는 편이다. 그건, 그런 ‘정체성’에 대한 판단은 스스로 내리는 것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혹은 시간이 지난 후에 스스로 회고적으로 내리는 것이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개인은 그저 주어진 상황에서 솔직히 최선을 다하면 되는 것이다. ‘무엇을 위해서?’라고 묻는다면, 또 자신이 생각하는 ‘좋은 목적’을 솔직하게 말하면 된다. 그 목적이 ‘좌파적’, 혹은 ‘우파적’이라고 스스로 혹은 타인이 사후에 판단할 수는 있을 것이다. 나중에 말이다. 하지만, 그런 판단은 처음부터 ‘좌’와 ‘우’를 먼저 규정하고 이야기를 시작하는 것과는 다르다. 먼저 ‘좌’인지 ‘우’인지를 밝히고 시작하자는 것은, 적어도 지금의 한국에서는, 너무나 정치적이고 폭력적이며, 그런 ‘정체성’에 대한 소모적인(현실적인 이익을 위한 싸움임을 생각하면 당사자들에게는 그저 소모적이지만은 않을 수도 있겠다) 논쟁 틈에서 솔직한 삶들이 가지는 다양성들이 너무 많이 희생되고 있다.
그래서 지금 좌/우의 이념투쟁(으로 포장된 사실상의 기득권 싸움)에 빠져있는 이들에게 말해 주고 싶다. 정작 가운데 있어야 할 것은 좌와 우 사이의 중립지대가 아니라(그런 ‘중립지대’는 없다) 스스로의 솔직한 모습이어야 함을. 그렇게 솔직해지고 난 다음에야 싸움도 제대로 된 싸움이 되지 않겠는가.
필자 소개
김현우는 2002년도에 EBS에 입사하여 <시네마천국>, <애니토피아>, <인터뷰다큐 - 성장통> 등 연출을 맡아왔다. 현재는 <지식채널e>연출을 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