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자료들은 예술적 활력의 다양한 요소인 예술기관의 지역과의 연관성, 관객의 참여, 작품의 탁월성, 예술형식의 보존과 개발에 대한 접근법, 예술가의 개발 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 자료들은 예술지원기관에게는 티켓판매율 이상의 예술기관의 예술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2009년 12월, 호주예술위원회(Australia Council for the Arts)는 리서치허브(Research hub) 웹사이트를 통해';예술적 활력에 대한 자료';(Artistic vibrancy resources)를 공개했다. 이 자료는 네 개의 연구보고서로 구성되어 있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보고서는「예술적 활력의 정의」로 예술적 활력의 의미와 예술적으로 활기찬 예술기관의 특성에 관한 토론문 형식의 글이다. 두 번째는 공연예술기관들의 예술성에 대한 자가진단 우수사례를 소개한 것으로「솔직하게 말해주세요」, 세 번째는「예술적 활력: 자가 평가 도구」로, 공연예술기관을 위한 평가 질문지와 도구이며, 마지막 보고서는「의미 있는 평가: 예술적 활력 측정에 대한 문헌 고찰」이다. 이 글은「의미 있는 평가: 예술적 활력 측정에 대한 문헌 고찰」의 내용을 요약한 것이다.


리서치허브 Research hub 로고호주예술위원회는 예술적 활력 측정을 위한 연구보고서 형식의 자료들을 개발하여 예술기관과 예술지원기관의 성과측정을 위한 자료로 제공해왔다. 이 연구보고서는 예술적 활력을 정의하고, 이를 통해 예술기관들이 현재 어떻게 각 기관의 예술적 활력을 측정하고 있는가에 대한 사례연구를 가능하게 하며 실질적인 평가 도구로 사용된다. 또한 이 자료들은 예술적 활력의 다양한 요소인 예술기관과 지역과의 연관성, 관객의 참여, 작품의 우수성, 예술형식의 보존과 개발에 대한 접근법, 예술가 개발 등을 측정하기 위한 방법을 제안한다. 이 자료들은 예술기관에게 각 기관의 특성에 맞는 예술적 영향 평가법을 찾을 수 있도록 돕는 안내서이자 예술지원기관에게는 티켓판매율 이상의 예술기관의 예술적 가치를 평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다.


미적 감각 증진 장기적 관객 개발 위한 필수 사항

관객의 참여와 자극에 대해서는 세계적인 예술마케팅 자문회사인 울프 브라운(Wolf Brown)의 대표인 앨런 브라운(Alan Brown)의「라이브공연의 영향 평가」연구를 소개한다. 이 연구는 공연 관람객을 대상으로 공연 시작 직전과 공연 관람이 끝나고 공연장을 떠난 후의 설문조사 방법으로 시행되었고, 공연 시작 전에는 예술을 수용할 준비 정도를 측정하고, 공연이 끝난 후에는 공연으로부터 받은 영향을 측정한다. 공연을 수용할 준비 정도에 대한 평가 척도는 공연작품이나 공연자에 대한 개인적인 지식과 경험, 공연 경험에 대한 개인적인 익숙함, 공연 직전에 공연에 대한 기대감과 개인의 심리적 상태이다. 공연의 직접적인 영향에 대한 평가 척도는 공연에 몰입한 정도, 지적 자극, 공연자에 대한 감정이입, 감정적이고 지적인 참여 이상의 내적 강화의 경험, 미적 감각의 증진, 사회적 유대감 형성 등으로 구성된다.

앨런 브라운은 공연 참여에 따른 내적인 영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함을 증명했는데, 공연의 종류에 따라 내적인 영향이 다르다는 것과 공연 관람에 대한 개인의 수용 준비 정도에 따라 영향 받는 정도와 유형이 달라짐을 증명했다. 공연에 대한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우선 요소는 공연의 예술적 완성도와 작품 자체의 유형, 공연장의 온도, 의자의 편안한 정도, 홀의 조명, 관객 구성 등의 환경적 요소 등이다. 지적 자극의 평가하기 위해 ‘공연자나 작품의 창작자에게 질문을 할 의사가 있느냐’고 물었을 때 설문 대상자의 42%가 무응답으로 공연장을 떠났다. 예술기관이 어떻게 관객의 호기심을 만족시킬 것이며, 관객과의 더 깊은 소통을 위한 수단으로써 그들의 지적 호기심과 관련된 토론의 장 마련에 대한 과제를 남긴다.

울프 브라운(Wolf Brown)홈페이지간략한 질문지로도 공연 직후의 감정적 파장을 측정할 수 있는데, 공연을 통해 어느 정도의 감정적 치료 단계까지 도달하였는가와 감정이입의 정도 등을 측정할 수 있다. 공연의 정신적인 가치는 새로운 영감을 불러일으킨 정도, 내적인 카타르시스를 느낀 정도를 측정함으로써 알 수 있다. 미적 감각의 증진은 관객 참여도를 점차적으로 고양시켜 새로운 흥미 유발과 부가적인 미적 욕구를 느끼게 한다. 예술기관에서 미적 감각의 증진은 장기적인 관객개발을 위한 필수사항이므로 예술적 활력 측정의 핵심이 되어야 한다. 앨런 브라운은 관객이 새로운 예술작품이나 평범하지 않은 예술작품을 접했을 때 미적 감각의 증진이 일어남을 연구를 통해 밝혔다. 마지막으로, 공연을 통해 새로운 문화를 소개하거나 관객이 그들 공통의 문화적 유산 안에서 공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회적 이슈에 대한 시각이 넓어지고, 인류에 대한 이해가 깊어져서 공연장을 떠날 때 사회적 유대감이 일어난다고 하였다.


공연자, 다른 관객과의 상호작용이 관객 경험 확대

관객 경험에 대한 평가 척도는 공연 관람을 통한 지식과 정보의 습득, 그로 인한 변화 등이다. 관객 경험 향상을 위해서는 관객들이 공연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공연이 관객의 기대에 못 미칠 것이라는 인식을 줄여야 경험을 확대시킬 수 있다. 관객 경험은 공연자와의 상호작용이 많을수록, 또한 동시에 관람하고 있는 다른 관객들과 함께 호흡하고 있다는 감각을 통해 확대된다.


새로움이냐, 익숙함이냐 ... 독창성과 보존에 대한 평가

저자는 예술형식의 독창성과 보존에 대한 평가에 관해 담 헨리(Dom Henry)의「예술적 영향 측정을 위한 실질적인 평가 척도의 개발」에 대한 연구 내용을 소개한다. 그가 제시한 예술적 영향에 대한 평가 척도는 관객의 수, 공연의 횟수, 공연장의 수, 지리적 그리고 인구통계학적인 예술형식의 프로파일, 대중의 의견과 인지도, 예술형식의 보존 정도, 커뮤니티의 강화, 상업적인 발전 등이다.

[그림1] 담 헨리(Dom Henry)의 예술의 독창성과 보존 그래프
헨리에 의하면, 예술작품은 최초의 창작에서 작품의 개선, 대중화의 과정을 거쳐 보존의 과정에 도달하는 단계를 밟는다. 각각의 단계에서 대중의 익숙한 참여와 예술형식의 실험과 변화는 대립한다. 예를 들면, 실험적이고 도전적인 예술작품은 독창적이지만 대중적이지 않다. 예술가나 예술기관은 각 기관의 미션에 따라 실험적인 작품들에 무게를 싣거나 대중적이고 실험적인 것의 혼합에 중점을 둘 수 있으며, 이 그래프를 통해 대부분의 작품들이 어디에 많이 위치해 있는지 한 눈에 볼 수 있고, 이를 통해 예술의 보존과 개발에 대한 평가가 가능하다. 예술지원기관 역시 이 그래프에서의 예술작품의 분포를 통해 각 기관의 예술적 독창성과 보존에 대한 평가를 할 수 있다.


감정적, 인지적 반응 기록하기

저자는 캐서린 스티븐스(Katherine Stevens)와 르니 크라스(Renee Class)가 3년간의 연구를 통해 개발한 ';관객 반응 측정 도구';(Audience Response Tool)를 소개한다. 이것은 질적인 그리고 양적인 측정의 형식으로 공연에 대한 감정적, 인지적 반응을 기록하는 도구이다. 이들은 또한 휴대가 가능한 관객 반응 시설(Audience Response Facility)을 개발했는데, 이것은 미디어, 연극, 음악, 무용의 라이브 공연이나 기록물을 관람하는 관객의 반응을 측정하고 기록하는 기계로서 심박동수, 호흡수 등의 변화를 측정하고 기록하여 관객의 직접적인 반응을 평가한다.

저자소개
저자인 제키 베일리(Jackie Bailey)는 호주예술위원회(Australia Council for the Arts)의 연구분석가(Resaerch Analyst)이다.

보고서보기





윤나영

필자소개
윤나영은 예술경영을 전공하고 미국 Americans for the Arts의 정책연구팀의 인턴으로 다양한 연구와 평가 사업에 참여했으며, 미국 Choral Arts Society of Washington의 예술교육 및 커뮤니티프로그램을 담당했었다. 현재는 서울문화재단에서 운영하는 서울시창작공간 금천예술공장의 국제코디네이터로 근무하고 있다.


  • 페이스북 바로가기
  • 트위터 바로가기
  • URL 복사하기
정보공유라이센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