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러두기
닫기한국 미술의 근대, 현대 시기 상정의 모호함과 대상 용어의 시기적 범위를 명확히 제공하기 위해 ‘20세기’로 한정하였으며, 용어 선정에 있어서 근대와 현대의 비중은 각각 30:70으로 구성하였음. 동시대 한국미술과 관련된 다양한 미술운동 및 단체 정보와 동향을 충실히 반영하고자 하였음
미술용어|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
||||||||||||||||||
| 대응역 |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단체 및 기관 | 번역사례 |
|---|---|
| **협회 | association, society |
| **회 | society, institute |
| **동인회 | associates (colleague, 등과 같이 뜻을 같이 하는 사람들이 모임) |
| **연립 | coalition |
| **미술회 | association, institute, school |
| **원 | academy, school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 대응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서양에서 유래하였으나 한자 미술용어인 경우) |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번역유형 | 정의 | 번역사례 | ||||||||
|---|---|---|---|---|---|---|---|---|---|---|
| 대응역 | 해당 언어권에서 실제로 사용되는 대응어로 번역한 경우 |
|
||||||||
| 직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 |
|
||||||||
| 직역 /한자역 |
원문의 형식적 특징을 유지하여 번역한 경우로서 일본식 한자로 변환한 경우 |
|
||||||||
| 의미역 | 해당 용어의 의미를 중심으로 풀어 번역한 경우 |
|
||||||||
| 혼합역 | 한 용어의 전부요소와 후부요소가 각기 다른 번역 유형으로 번역된 경우 (음역+대응역, 음역+의미역) |
|
||||||||
| 음역 | 한국어의 원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경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