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계짚어보기] 「2009년도 미술시장실태조사」로 보는 한국미술시장
하락세 끝, 반등 전망
미술시장실태조사의 가장 주목되는 내용은 무엇보다도 미술시장의 규모일 것이다. 2009년도 미술시장규모는 4,085억원으로 추정되었다.
최창희 _ 예술경영지원센터 기획지원부 조사·컨설팅파트
NO.129_2011.06.02
-
[특집] 직업으로서의 예술경영③ 예술경영의 직업적 발전을 위한 방안
누구의 몫도 아닌, 바로 우리의 당면과제
최근 예술경영에 대한 직업적 관심과 수요는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할 교육환경이 갖춰지고, 직업적으로도 분화, 전문화 등의 발전 양상을...
이승엽 _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경영과 교수
NO.129_2011.06.02
-
[정책제도Q&A] 공연법 시행령 개정
50석 이상 공연장, 등록의무화!
‘공연법’의 하위법령인 공연법 시행령 개정안이 지난 4월 5일에 공포되었습니다(공포한 날부터 시행, 제8조 제5항 제외). 공연법은 공연, 공연장...
진재영 _ 문화체육관광부 공연전통예술과 사무관
NO.128_2011.05.26
-
[현장+人] 유원준 미디어아트채널 앨리스온 디렉터
이상한 넷 세상 속으로
여러 미디어아트 작가들의 작품을 보면서 오롯이 감상자의 몫으로 남는 미술작품이 아니라 감상자와 상호소통하고 자유로운 공간구성이 가능한...
류동현 _ 미술칼럼니스트
NO.128_2011.05.26
-
[특집] 직업으로서의 예술경영② 유형별 현황과 직업만족도
좋다고만 할 수 없는 일, 하지만 좋아서 하는 일
최근 예술경영에 대한 직업적 관심과 수요는 증대되고 있으며, 이를 뒷받침할 교육환경이 갖춰지고, 직업적으로도 분화, 전문화 등의 발전 ...
최윤우 _ 공연칼럼니스트
NO.128_2011.05.26
-
[해외동향] 다문화시대, 변화하는 유럽공연예술시장
미지의 창작자와 새로운 관객들과 함께
지난 4월, 현대공연예술네트워크(International Network for Contemporary Performing Arts, IETM) 봄 정기총회는 ‘누구의 이야기인가’라는 테마로..
신민경 _ 독립기획자
NO.127_2011.05.19
-
[특집] 직업으로서의 예술경영① 통계로 보는 근로현황
당신의 직업만족도는?
공연기획․제작의 경우는 사업적 능력과 의사소통능력이 다른 직군보다 필요 정도가 높았다. 아울러 공연기획․제작 직군의 경우에 직급 간에...
이승렬 _ 한국노동연구원 연구위원
NO.127_2011.05.19
-
[리뷰] 도시축제와 거리예술 국제컨퍼런스Ⅰ
다시, 도시재생에 주목하다
지난 5월 12일 거리예술 관계자들이 한 자리에 모여 ‘도시축제가 선택한 예술, 예술과 도시문화정책’을 주제로 ‘도시축제와 거리예술 국제컨퍼...
박지선 _ 예술경영지원센터 국제사업부 전략기획 파트장
NO.127_2011.05.19
-
[칼럼] 공연예술 지원제도 열린토론
10년 전과 뭐가 다르지?!
지난 4월 26일 대학로 예술가의집에서는 (사)한국연극협회와 (사)한국공연프로듀서협회에서 주최한 ‘열린 토론-2011 지원제도 터놓고 이야기합...
정대경 _ (사)한국소극장협회 이사장, 삼일로창고극장 대표
NO.126_2011.05.12
- 웹진에 실린 글의 내용은 (재)예술경영지원센터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서울시 종로구 대학로 57(연건동) 홍익대학교 대학로 컴퍼스 교육동 12층(03082)
TEL 02-708-2293 FAX 02-708-2209 E-mail : weekly@gokams.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