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스

예술품 시장별 특징 – 예술품 경매 등

예술품 경매

2013년도 중국의 예술품 경매시장을 보면 중국 내 321개 경매회사가 모두 677회의 경매시장을 벌여 총 511,979건의 경매 예술품을 상정하고 낙찰 거래 건수는 243,641건으로 거래율 48%에 거래 금액 438.07억 위안(한화 약 7조 8853억 원)에 이른다고 중국 문화부 문화산업사는 “중국 예술 시장 연간보고서 2013(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2013)”에서 밝히고 있다.

2007-2013년간 중국 예술품 경매시장 거래액 추이

▲출처: 중국 예술 시장 연간보고서 2013(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2013) p.8 자료 재구성



이 밖에 2000년 12.50억 위안, 2001년 13.74억 위안, 2002년 20.30억 위안, 2003년 26.63억 위안, 2004년 77.53억 위안, 2005년 156.21억 위안, 2006년 165.94억 위안으로 계속 상승세를 유지해 오다가 2011년 급성장의 정점을 찍고 지금은 진정세로 돌아 조정기를 거치는 과정으로 보면 무난할 것 같다.

그런데 중국문화부(文化産業司), 중국 교육부 사회과학사, 베이징대학 사회학부가 공동으로 지도하고 “베이징대학 문화산업연구원 및 국가문화산업창신과 발전연구기지”가 공동 편찬한 “중국문화산업연도보고”에서 밝히고 있는 중국의 예술품 경매시장 통계 수치와는 다소 차이가 있는데 이는 아마 홍콩과 마카오, 대만 통계 포함 여부에 따른 것으로 판단되는바 착오 없기 바란다. 다만 어느 해는 어느 지역이 포함되고 어느 해는 어느 지역이 포함되어 있지 않다는 주석이 없어 안타까울 뿐이다.

2010-2012년간 중국의 예술품 경매시장 현황

▲출처: ①중국 문화산업 연간 성장 보고서 2012(he Annual Development Report of Chinese Cultural Industries 2012) p169 ②중국 문화산업 연간 성장 보고서 2013(The Annual Development Report Of Chinese Cultural Industries2013) p.151 자료 재정리
※주: 상기 자료는 ‘아창예술품시장감측중심(雅昌藝術市場監測中心, AMMA)’의 자료를 인용한 것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표의 ‘구분’과 ‘특별 경매’는 특정 예술품만을 대상으로 경매를 실시한 것을 말하며 ”경매 횟수“는 다양한 예술품을 한꺼번에 경매하는 것을 말하는 것으로 착오 없기 바람



2014년도 춘계(春季) 예술품 경매 거래액이 295억 위안으로 알려져 있으며 예술품시장이 중국문화 산업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보면 2013년 도서, 잡지, 신문, 음향 영상 제품시장(1조 8246.4억 위안)과 디지털 출판 산업시장(2,540.35억 위안) 다음으로 3번째로 크다.

여기서 2013년도 중국의 예술품시장에서 주요 저명 예술가들의 작품당 거래액을 살펴보면 대부분이 중국화(中國畵) 작품이 상위 10위를 마크하고 있는데 1위에 치바이스(齊白石) 작품이 17억4,501만7,300위안(한화 약 3,141억 원)에 거래가 이루어졌고 4위에는 쉬베이홍(徐悲鴻)작품이 8억8,285만6,500위안(한화 약1,589억 원)에, 그리고 10위에는 판정(范曾) 작품(유화/油畵)이 4억8,861만2,300위안(환화 약 879억 원)에 거래되고 있어 대단히 높은 편이다. 또한, 인터넷을 통한 경매도 흥미롭게 진행되어 2013년에는 3,097회에 92.79억 위안의 거래 실적을 거두어 2012년보다 7배가 늘어난 것으로 인터넷 시대의 밝은 전망을 내놓기도 했다.

그러면 2013년도 중국의 경매회사들의 주요 실적을 파악하여 시장의 이해를 구하도록 하자.

박물관

▲ 중국 바오리 경매사의 홍콩 전시 프리뷰 현장(사진출처: 위키피디아)

2013년 중국 경매 실적 상위 10위 현황

▲출처: 2013 중국 예술 시장 연간보고서(2013 China Art Market Annual Report) p.22 자료 재정리

상기 표에서 1위를 마크하고 있는 베이징 바오리(保利)의 총거래액이 한화 약 1조 1,782.6억 원으로 엄청난 규모를 자랑하며 대부분의 경매회사들의 낙찰·실제 거래율이 65%를 넘고 있어 거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예술 투자 기금

2013년 창립·발행한 44개의 예술품 기금 중 21개가 중국에서 창설되었다고 한다. 이러한 예술품 기금의 대부분이 선택한 투자는 현대회화(1919-1949년 기간)와 당대(1949-현재) 예술작품들이다. 투자 기한도 보통 2-3년으로 다소 불합리한 것도 있다고 전해진다. 2011년에 조성된 중국 내 예술품 기금은 평균 2년 6개월의 운용 주기로 2013년에 현금으로 교환되었다고 한다.

예술품 신탁

2013년도 중국의 예술품 신탁은 29개의 예술품 신탁 지불기일이 도래하여 관련 자금도 26.42억 위안(한화 약 4,755.6억 원)에 이르렀다고 한다. 상반기 도래한 10개의 신탁은 8.8억 위안, 하반기 19개의 예술품 신탁 지불기일 도래로 관련 자금 17.62억 위안이 지불되는 등 어려운 한 해였다는 것이 시장의 진단이다. 2013년 단지 4개의 신탁회사가 13개의 신규 예술품 신탁 상품을 발행했는데 이 중 7개의 신탁 상품만 공개하였고 그 규모는 6억 위안을 조금 넘었다고 한다. 이 4개 신탁회사는 산둥신탁(山東信託), 궈토우신탁(國投信託), 창안신탁(長安信託), 싱예신탁(興業信託)이다. 이들이 발행한 신탁 기한은 모두 2년 또는 그 이상인데 최장 5년인 것으로 밝혀졌다.

문화재산권 거래소

문화재산권거래소(文化産權交易所)와 문화예술품거래소(文化藝術品交易所)는 중국의 문화예술과 금융자본이 상호 결합한 산물이다. 맨 처음 설립된 곳이 2009년 상하이이고 그다음이 텐진(天津), 선전(深圳) 등으로 이후 우후죽순처럼 생겨났다. 이러한 거래소들은 적지 않은 주요 상품들을 거래하고 판매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서 상품의 가치를 높이고 있다.

항저우거래소는 전자상거래망 타오바오망(淘宝罔)과 2013년 5월 합작을 통하여 예술 상품 전문 경매장을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

다음 호에서는 예술품의 상품으로서의 거래상황을 파악하도록 하겠다.

※ 1부 기사는 아래 링크를 클릭하시기 바랍니다.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예술품시장Ⅰ

※ 참고링크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주요 환경Ⅰ / 경제지표와 인구, 국가 투자, 그리고 네티즌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주요 환경 Ⅱ / 인프라 건설과 문화 소비, 그리고 정책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음악시장Ⅰ / 음반시장 및 온라인 음악시장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음악시장Ⅱ / 무선 음악시장 외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Ⅰ / 공연시장의 규모와 동향 파악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Ⅱ / 장르별 공연시장의 특성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Ⅲ / 음악공연의 유형 및 시장 규모
[칼럼] 미지의 대륙, 중국의 문화예술산업 분석 – 공연산업 시장Ⅳ / 근검절약 정책 이후의 공연산업

필자소개 필자소개
유재기는 중국 사회과학원에서 한·중문화비교 연구를 했으며 주중 한국대사관에서 1등 서기관으로, 문화체육관광부 해외홍보원에서 해외홍보과장, 문화교류과장으로 근무를 했다. 또한, 주중 한국대사관 참사관, 대한민국예술원 사무국장, (재)국제문화산업교류재단 사무처장을 거쳐 현재 (사)한·중문화예술포럼에서 회장직을 역임하고 있다. 주요 저서로는 『수교 이후 한 중 문화 교류사』, 『한눈에 알아보는 중국의 문화산업 시장』이 있다.

  • 페이스북 바로가기
  • 트위터 바로가기
  • URL 복사하기
정보공유라이센스 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