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아트마켓의 8년을 논하다
어제 오후 세종문화회관 예인홀에서 <2013 서울아트마켓 기자간담회>가 있었다. 많은 기자분들이 찾아주셨고, 9회째를 맞이하는 서울아트마켓의 올해 프로그램에 대한 소개가 진행됐다. 마지막 질의응답 시간에 나온 질문 중에 “부스전시에 사람들이 많이 안 오던데 홍보의 문제인가?”라는 질문이 있었다. 그에 대해 “물론 부스전시 홍보를 잘해야 되는 것은 틀림없다. 그러나 부스는 전통적인 마켓의 형태로 현재는 SNS 등 새 매체가 보편화되면서 아날로그 방식인 부스전시를 통한 홍보가 변화되고 있는 추세다”라고 센터측 답변이 이어졌다. 서울아트마켓이 2005년 처음 시작돼 2014년 서울아트마켓이 개최 10회를 맞이한다. 10년이면 강산도 변한다는데 ‘서울아트마켓은 제대로 가고 있는가?‘, ‘10년이 아니라 하루가 다르게 변하는 세상에서 트렌드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는가?‘, ‘이렇게 먼 곳임에도 불구하고 세계 공연기획자들이 찾아오는 이유는 무엇인가?‘에 대한 고민을 시작한 것은 그 때문이다. 단지 보여주기 위한 수치를 통한 평가가 아니라 다양한 주변 환경, 콘텐츠 자체의 변화들을 서울아트마켓이 잘 반영하며, 자가 분석 하면서 가야한다는 고민에 이르렀다.
그래서 올해 9회째 행사를 시작하기에 앞서 지난 성과들은 잘 살려내고, 향후 10년의 비전을 내다봤을 때 한국의 유일한 공연예술 국제유통 마켓으로서 그 역할 설정을 하기 위한 특집으로 국내 공연관계자들과의 2회에 걸친 좌담과 서울아트마켓 기간 내 1회의 라운드테이블 세션을 준비했다. 이미 두 번의 좌담을 마쳤다. 특히 첫 번째 좌담인 ‘국제유통 성과 정리편‘에서 나왔던 “이제는 양적 팽창이 아니라 질적 수준 향상을 고민해야 할 때이다”라는 지적은 뼈아프게 다가온다. 향후 더 실질적인 비전과 견고한 프로그램들로 공연예술의 국제교류 활성화를 위해 스스로 고민하고, 귀를 열어야 할 때이다. 서울아트마켓 기간 동안 진행될 라운드테이블 세션1, <서울아트마켓의 과거&미래 10년>에 많은 독자 분들의 참여를 기다리는 것은 바로 그 이유다.
뱀꼬리
내일 편집팀은 <한중일 문화장관 회의>에서 이루어질 초국가적인 멋진 예술정책 논의들을 기대하며 광주로 출장을 갑니다. 그리고 다음 주부터는 서울아트마켓만이 아니라 SPAF, SIDance, 전주세계소리축제, 울산월드뮤직페스티벌, 아시아퍼시픽뮤직미팅(APaMM), 자라섬재즈페스티벌 등……. (빠진 거 없나요?) 정신이 도망가지 않도록 잘 붙잡고 다음 주에는 전주와 울산에 출장을 다녀올 예정입니다. 여러분 즐기세요~ 대한민국은 축제 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