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진에 실린 글의 내용은 (재)예술경영지원센터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TEL 02-708-2293 FAX 02-708-2209 E-mail : weekly@gokams.or.kr
당신은 무엇을 선택할 것인가
[연말특집]결산과전망① 2011 트렌드 전망
|
|||||||||||||||||||
|
“가장 잘 맞지 않는 것이 시장전망이다. 오늘 내가 발표하는 전망도 아마 맞지 않을 것이다.” 공연시장, 조정기 이후의 재도약 국면
이종규 인터파크ENT 공연사업본부장은 “2009년이 글로벌 금융 위기, 경기침체, 신종플루, 고환율 등의 최악의 시기였다면 2010년 역시 북한발 악재, 월드컵, 유럽발 재정위기 등으로 위험요소가 지속되었다.”고 분석했다.
이종규 _ 인터파크ENT 공연사업본부 본부장 미술시장, 지난 10년 투자상품으로서 높은 수익률 보여
최정표 건국대 경제학과 교수는 최근 연구 발표한 그림가격지수를 바탕으로 미술시장의 추이를 분석했다. 그림가격지수는 한국에서 그림 경매가 처음 시작된 1998년부터 매년 경매 50대 작가를 중심으로 서울옥션과 K옥션에서 낙찰된 작품 자료를 사용하여 가격의 변화 추세를 추정한 값이다.
최정표 _ 건국대학교 경제학과 교수 키워드를 해석하라시장 전망에 이어 ‘소비트렌드’와 ‘문화트렌드’에서 각 강연자들이 꼽는 주제별 트렌드는 다음과 같다. 각 강연자들이 제안하는 트렌드 키워드는 서로 다르다. 그러나 기존의 통념을 벗어나 새로운 변화를 향해 움직이는 사회의 흐름을 포착하는 지점에서 공통점도 발견된다. 각각의 키워드를 비교해 보면 공통된 흐름을 서로 다른 관점으로 접근하고 분석하고 있다는 점도 대비된다. 아래 키워드들을 일별하며 관점을 대비해 보는 것도 흥미로울 것이다. 소비트렌드
손민중 _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 소비자유형
김용섭 _ 날카로운상상력연구소 소장 디지털군중
손민선 _ LG 경제연구원 연구원 핫 트렌드, 2011 전망
김경훈 _ 한국트렌드연구소 소장 2010 예술경영 릴레이컨퍼런스 ‘트렌드전망 2011’의 내용 전문은 예술경영지원센터 홈페이지 자료실에서 보실 수 있습니다. 자료실 바로가기
[연말특집] 결산과 전망 다른 기사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