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진에 실린 글의 내용은 (재)예술경영지원센터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TEL 02-708-2293 FAX 02-708-2209 E-mail : weekly@gokams.or.kr
우수함과 다양성에 기반한 영국 거리예술
[해외동향] 그리니치+도클랜드 인터내셔널 페스티벌과 XTRAX의 거리예술 아트마켓
국민투표에 의해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가 결정된 직후, 런던의 남동부에서 열리는 그리니치+도클랜드 인터내셔널 페스티벌은 브렉시트(Brexit)의 정중앙에서 축제를 맞이했다. 한국거리예술센터는 한-영 상호 교류의 해 프로젝트가 추진되는 2017-18년 영국 파트너와 공동으로 거리예술 교류사업을 추진하고자 지난 6월 말 영국 현장 리서치를 진행하였다.
※ 본 리서치 프로젝트는 한-영 상호 교류의 해 프로젝트 사업의 일환으로 영국문화원의 지원을 받아 진행되었다.
그리니치+도클랜드 인터내셔널 페스티벌(Greenwich+Docklands International Festival; 이하 GDIF)은 1996년에 창설된 이래 매년 6월 런던의 남동부 지역인 타워 햄릿, 그리니치 일대에서 개최되는 공연예술 축제로, 야외 공연예술 프로그램들(연극, 무용, 거리예술)을 선보인다.
그리니치는 템스 강 남쪽에 위치한 항구와 함께 교통의 요충지로서 경제, 사회적 발전의 중심이 되었던 지역이다. 현재는 과거의 화려함과 중세 시대의 유산을 유지한 채 도시 개발이 진행되어 뉴타운으로 자리를 잡았다. 그리니치를 상징하는 중세 건물들인 왕립 천문대(Royal Observatory), 구 왕립 해군학교(Old Royal Naval College), 커티 사크 호(Cutty Sark), 국립 해양 박물관(National Maritime Museum) 등은 축제의 첫 주 주말 관객들로 가득 차는 주요 무대이기도 하다.
GDIF의 프로그램은 창립자이자 예술감독인 브래들리 헤밍스(Bradley Hemmings)에 의해 구성되어 오고 있으며, 올해로 21년을 맞이하였다. 영국과 주변 유럽 국가의 우수한 거리예술 작품들을 초대, 제작하여 소개하는 것 이외에도, 다양성에 가치를 두고 있는 작품, 커뮤니티 그룹의 참여를 기반으로 한 공연 프로그램, 장애 예술인들의 작품 등을 소개하는 것에도 초점을 맞추며 프로그램을 구성하고 있다.
특별히 이번 축제에서는 영국의 브렉시트(Brexit) 결정 직후 패널 토론이 열려 ‘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 거리예술 분야에는 어떠한 의미가 있는가’를 주제로 진지하고도 현실적인 이야기들이 오갔다. 공공성을 지닌 예술로써 거리예술이 시대와 사회의 변화 가운데 어떠한 역할을 해야 하는지, 동시대를 살아가는 예술가들의 시선에서 브렉시트를 대하는 저마다의 방식을 읽을 수 있었다.
축제가 지니고 있는 이러한 방향은 축제의 프로그램을 대할 때 각 작품의 우수성뿐만 아니라 도시가 지니고 있는 복잡성과 다양한 맥락을 바탕으로 프로그램을 이해할 수 있게끔 한다. 항구 도시로 개방되어 문화와 교류의 거점이었던 그리니치가 지금은 축제를 통해 다양한 가치들을 담아내며 그들만의 방식으로 이러한 목소리를 이어가고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다.
축제의 개막작과 폐막작은 많은 관중을 수용할 수 있는 대형 작품으로 구성되며, 열흘의 축제 프로그램은 진행되는 장소와 일정에 맞추어 각각 그리니치 페어(Greenwich Fair)1, 모트 아일랜드(Moat Island)2, 댄싱 시티(Dancing City)3, 이그나이트(Ignite!)4로 구분된다. 축제가 시작되면 몇 걸음 거리의 골목과 광장 마다 거리예술 프로그램들이 배치된다.
축제에서 공연 프로그램만큼이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마켓 프로그램은 GDIF의 파트너인 Xtrax와의 협력으로 진행된다. Xtrax는 영국 거리예술축제들의 컨소시엄인 Without Walls5를 운영하고 있는 기관으로, 축제에 방문한 전문가들을 가장 먼저 마주하고 거리예술의 다양한 이슈들을 중심으로 네트워크를 만드는 역할을 한다.
마켓 프로그램은 홍보부스인 Xtrax·GDIF Marketplace와 작품을 피치세션 방식으로 소개하는 Xtrax·GDIF Shorts로 크게 구성되어 있다. 개막 공연을 앞둔 낮 시간에 진행되는 마켓플레이스는 약 3시간 동안 밀도 있게 진행되는 아트마켓으로, 예술단체, 축제, 기관 등 다양한 주체의 홍보 부스들을 중심으로 축제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전문가들이 참석한다. 이후 그리니치 페어의 프로그램들이 본격적으로 시작되면, 공연이 시작되기 전인 오전 시간에 신작들을 소개하는 피치세션 Xtrax·GDIF Shorts가 진행된다. 거리예술, 무용, 서커스 등 다양한 형태와 방식을 지닌 작품들이 소개되며 예술단체들은 적극적으로 파트너와 공동 투자자를 찾는다. 한국거리예술센터에서도 홍보부스에 참여하여 센터의 사업을 소개하며 국내 거리예술단체 및 관련 기관의 자료를 공유하고, 피치세션을 통해 한-영 상호 교류의 해 프로젝트에 관하여 아이디어를 교환하였다.
![]() |
![]() |
▲ GDIF Marketplace ⓒXTRAX |
▲ XTRAX Reception ⓒSteven Crammond |
독립거리예술네트워크(Independant Street Arts Network; ISAN UK), 영국 거리예술가협회(National Association of Street Artists; NASA UK) 등 다양한 성격을 지닌 기관과 조직들도 마켓에 참여하여 축제와 티 타임 미팅, 저녁 리셉션 파티 등을 공동으로 주관한다. 이들은 정부 차원에서의 제도적인 지원을 일부 받으며 활동하되, 회원제도를 바탕으로 운영되는 독립적인 조직으로서 영국의 거리예술계를 대변하고 회원들의 디렉터리 DB 구축을 통한 프로모션, 거리예술 관련 학술 연구 및 정보 교류, 문화예술 정책 입안을 추진하는 등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2017-18년 진행되는 한-영 상호 교류의 해 사업에서 한국거리예술센터는 이번 리서치를 기반으로 한국과 영국의 거리예술 전문가, 기관 간의 파트너십을 구축하고 축제 및 공연단체와의 공동의 프로젝트를 추진하며 서로의 네트워크를 확장하는 계기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러한 교류의 움직임이 국내 거리예술에의 또 다른 자극이 되기를 기대한다.
필자소개
임현진은 한국예술종합학교에서 예술경영 전문사를 수료하고, 거리예술을 중심으로 축제 기획, 프로그래밍, 공연 기획을 해왔다. 2014-15 안산국제거리극축제 공연팀장으로 재직했으며, 국제교류에 관심을 두고 유럽 및 아시아의 예술단체와 협업·공동제작과 더불어 국내 단체의 해외 진출 업무를 진행해오고 있다. 현재 한국거리예술센터가 주관하는 2016 거리예술마켓 사업의 기획을 맡고 있다.이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