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웹진에 실린 글의 내용은 (재)예술경영지원센터의 의견과 다를 수 있습니다.
TEL 02-708-2293 FAX 02-708-2209 E-mail : weekly@gokams.or.kr
영상시대, 미디어아트는 어떻게 차별화될까
[리뷰] 상상마당 열린포럼 ‘미디어아트를 넘어서’1984년 1월 1일 밤늦은 시간, 고(故) 백남준 작가의 작품 <굿모닝 미스터 오웰>이 인공위성을 타고 서울에 생중계됐다. 전 세계 국영TV들이 참여한 이 작품은 2500만 명이 시청한 세계 최초의 거대 위성쇼라는 사실 이외에도 비디오아트라는 진보적이고 혁신적인 작품이 창조되었다는 점에서 세계를 열광시켰다. 백 작가가 “우리에게 21세기는 1984년 1월1일부터 시작되는 것이다.”라고 말했을 만큼 이후 미디어 환경과 예술 환경의 급격한 변화를 자신 있게 예언했던 작품이기도 했다.
그로부터 26년의 시간이 흘렀다. 그간 인류는 지난 500년보다도 더 큰 기술발전을 이뤄냈으며, <굿모닝 미스터 오웰>을 세계로 인도했던 인공위성은 더 이상 낯선 용어가 아니게 됐다. 또한 이전에는 상상도 할 수 없었던 인터넷이라는 그물망이 전 세계에 펼쳐 있어 원한다면 누구와도 실시간 소통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기술 환경의 파도를 탄 미디어아트는 필연적으로 진화와 발전을 거듭하며 유유히 현대미술의 중심으로 떠올랐다.
1995년 제1회 광주비엔날레를 시작으로 국내에서 진행되고 있는 국제현대미술 행사의 중심 이슈이자 분야 역시 미디어아트다. 올해만 해도 ‘해외 미디어아트 거장초청 세미나’(문화콘텐츠진흥원 주관), 미디어아트센터인 엠-플래닛(M-PLANET) 개관, 백남준, 빌 비올라와 같은 거장의 작품을 만날 수 있는《미디어상설전》(리움) 등의 행사가 이어지고 있으며, 4월에는 미디어아트 페스티벌 ';디지페스타';(DIGIFESTA, 광주시립미술관 주최)가 광주비엔날레 전시관에서 열릴 예정이다. 큐레이터들이 “미디어아트를 다루지 않고서는 전시 구현이 어렵다.”고 말할 정도로 젊은 작가들 상당수가 미디어 기술과 예술을 접목시킨 작품을 선보이고 있는 것이다.
미디어아트의 아날로그적 고민
‘제13회 상상마당 열린포럼-미디어아트를 넘어서’(3월 27일)는 이러한 일련의 흐름에서 미디어아트에 대한 오해와 그 실체에 대해 이야기하는 시간을 마련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더불어 포럼은 공공미술에서 미디어아트가 어떻게 수용되고 있는지, 국내 미디어아트의 문제점은 무엇인지에 대한 논의의 장도 마련했다. 패널로는 민병직 전 도시갤러리 큐레이터, 손영실 서울시립미술관 큐레이터, 양아치 미디어아트 작가가 참여했으며, 토론자로는 정용도 쿤스트독 미술연구소장이 나왔다.
먼저 손영실 큐레이터는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이하 비엔날레)가 걸어온 10여 년의 시간을 정리하면서 “2000년 제1회 비엔날레가 IT영역의 부각(국가 주력 성장 사업)과 궤를 같이 했다면 최근의 비엔날레는 미술적인 영역에서의 새로운 확장을 보여주려는 움직임이 더욱 강해졌다”고 전했다. 동시에 ‘아르스 일렉트로니카';(Ars Electronica Festival : 세계적인 권위를 자랑하는 미디어아트 페스티벌)의 작년 주제 ';인간성‘(Human Nature)을 예로 들어 현 시점의 미디어아트들이 아날로그적인 주제를 고민하고 있음을 강조했다.
또 손 큐레이터는 비디오아트 등 초기 전자예술(Electronic Art)이 TV모니터를 사용했듯 현재의 미디어아트가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을 상기시키면서, “조형공간(건물 벽, 광고판 등)에 이미지를 투영시키는 미디어아트의 다원적인 실험이 도시라는 화두를 미디어아트 속으로 이끌어왔으며, 이러한 작업들은 관람객에게 조형적이고 유연하며 촉각적이기도 한 체험뿐 아니라 시각적 몰입 형태의 다양한 가능성도 보여줬다”고 역설했다.
이은 발표에서 민병직 큐레이터는 ‘서울시 도시갤러리프로젝트’의 책임 큐레이터였던 경험을 토대로 도시와 미디어아트, 즉 공공미술 속의 미디어아트에 대한 좀 더 구체적인 사안을 이야기 속으로 가져왔다. 민 큐레이터는 “미디어아트가 가지고 있는 인터랙티비티(Interactivity), 멀티미디어(Multimedia), 네트워크(Network) 등의 속성들이 조형물을 넘어서려는 의도, 물리적인 장소를 넘어서려는 움직임, 관심과 참여와 소통 등 최근 공공미술이 추구하고자 하는 방향과 부합되는 가장 적절한 미술장르”라고 전하는 동시에 “그럼에도 불구하고 공공미술은 미디어아트를 불편해하고 있다.”고 말해 관객들의 궁금증을 샀다.
“관 주도사업인 만큼 무엇보다도 현실화되어야 하는 미술이 공공미술이기 때문”이라고 이유를 밝힌 민 큐레이터는 “관 입장에서는 이벤트나 퍼포먼스가 고비용 저효율 행사로 여겨지고 있으며, 작품을 장기간 시행한다고 해도 관리나 유지 등 행정적, 기술적 요인들이 취약하기 때문에 공공미술에서 미디어아트가 실현되기는 어려운 게 사실이다”라고 부연했다. 참고로 지난 3년 동안 ‘서울시 도시갤러리프로젝트’에서 실현된 작품은 80여 개로, 이 중 미디어아트 작품은 단 두 작품뿐이다. 이 중에서도 한 작품은 현재 조형물로만 남아있다는 게 후문.
마지막 패널 양아치 작가는 ‘미디어아트를 넘어서기 위한 몇 가지 가능한 상황들’을 발표했다. 양 작가는 전기, 전자가 배제된 미디어아트, 노이즈음악에 맞춰 춤추기, 무선감시카메라를 통한 드라마 제작 등을 나열하며 미디어아트 작가로서 고민하고 있는 지점들을 진지하게 들려줬다. 특히 양 작가는 이미 많은 작가들이 사용해 온 오픈소스(Open Source)를 아무 고민 없이 작업 속에 끌어오는 작가들을 비판하며 “하는 이야기가 다 다를 수 있겠지만 형식면에서 비슷한 패턴을 자주 보여주고 있는 작품들의 한계는 분명 지적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공공미술은 미디어아트를 불편해 한다?
패널들의 발제가 끝난 후에는 정용도 소장의 토론과 더불어 관객들의 질문시간이 이어졌다. 정 소장은 “기술은 2차적인 문제”라는 백남준 작가의 말을 인용하면서 “이제 미디어아트는 기술적인 부분을 벗어나 예술적인 세계로 나아가야 한다.”고 주장하는 동시에 “예술적 책임과 관련 없는 개념만 보여주고 있는 국내의 미디어아트 관련 전시들을 비판적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말했다. 더불어 “미디어아트가 어떤 방식으로 문화 속에 녹아들어가 예술성을 건질 수 있는지, 시각적 유희로밖에 보이지 않는 국내의 미디어아트가 어떻게 공공성을 획득할 수 있을 것인지” 등의 질문을 던졌다.
이에 손 큐레이터는 “조형물에 이미지를 투영하는 작업은 관람객들에게 얼마나 잘 인지되느냐가 가장 중요한 부분이기 때문에 아무리 작업이 좋더라도 색깔의 대비가 약하면 작업을 실현하기가 어렵다”고 토로하면서 “작업을 진행할 때 작가의 예술적 색깔을 어떻게 담보할 수 있을지에 대해 늘 고민하고 있지만 미디어아트에서 기술을 아예 배제할 수는 없다.”고 답했다. 또 민 큐레이터는 “미디어아트가 공공성을 담보하려면 미디어 활용을 통해 사회, 정치적 문제 등을 향유하는 작품들이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며, 미디어를 그저 작품을 발표하는 하나의 매체로만 사용하는 작가들에 대한 우려를 표명했다.
기존 영상문화 속에서 미디어아트만의 차별성 획득이 가능하냐는 관객 질문에 양아치 작가는 “사실상 어렵다”고 운을 떼며 미디어아트가 기술 미학에 대한 조사조차 제대로 하고 있지 않으며, 산업과 맞물리면서는 진보적인 예술로서의 모습조차 보여주지 못하고 있음을 지적, “내용은 하나도 재미없는데 엄청난 돈과 기술력이 투자됐다는 애니메이션이 무슨 대단한 작품처럼 홍보될 때 드는 기분을 미디어아트 작품에서도 느낄 수 있을 것”이라고 조소했다. 더불어 “본질적인 질문은 10년 전이나 지금이나 다름없다”며, “여전히 전기 혹은 전기세 등이 작업을 방해하고 있다는 데에 절망감을 느낀다.”고 말했다.
이번 포럼은 국내 미디어아트 현실에 대해 이론가, 작가, 기획자 등 각각 대비되는 관점을 살펴볼 수 있다는 점이 흥미로웠다. 한편 전시장을 벗어나 도시의 거대 조형물에 투사되고 있는 작품들에 대한 대중의 관심이 두드려져 ';도시';를 미디어아트의 공간으로 가져오고 있는 근래 미디어아트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살필 수 있었다.
‘상상마당 열린포럼’은 전문가뿐 아니라 모든 사람이 함께 모여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담론을 이끌어 내고자 기획된 열린 포럼으로, 지난 2008년부터 진행되고 있다.
![]() ![]() |
필자소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