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경영지원센터는 여러분의 의견에 귀 기울이겠습니다.

예술경영지원센터에 하고 싶은 이야기나 문의사항이 있으시면 자유롭게 올려주십시오.

단, 효과적인 ‘고객의 소리‘ 운영을 위하여 아래 사항에 해당하는 내용은 통보 없이 삭제 될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 -특정 개인, 단체(특정 종교 포함)등에 대한 비방 / - 욕설, 음란물 등 불건전한 내용 및 상업적 게시물 / - 동일한 내용 반복 게시 / - 특정인의 개인정보 포함 및 유출 / - 기타 ‘고객의 소리‘ 설정 취지에 부합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는 게시물 등

예술경영지원센터는 최고의 서비스를 위해 항상 노력하겠습니다.

예술경영지원센터 ‘고객의 소리'관련 문의 / 기획지원부 경영기획팀 02-708-2202, 2204

전문가의 답변이 필요한 단체(법인)설립, 정책·제도, 회계·세무, 인사-4대보험, 저작권 등에 대한 문의는 온라인 컨설팅을 이용해주세요.

온라인컨설팅


사업문의한국미술다국어용어사전 데이터 사용 문의드립니다.

공지사항 내용
작성자 김** 작성일 2025-05-23 진행상황 처리완료
안녕하세요. 현재 진행 중인 사업에 귀 재단이 제작하신 한국미술다국어용어사전의 데이터를 사용할 수 있는지 궁금하여 질문 드립니다.

먼저 진행 중인 사업에 대해 간략히 소개드리겠습니다.
- 정보취약계층을 대상으로 한 지능형 도슨트를 개발합니다.

- 제한된 범위의 지식 안에서 사용자의 질문에 답변을 주는, 대화형 sLLM을 개발합니다.
쉽게 말해, 특정 박물관/미술관이 미리 정의한 정확한 지식 만을 토대로 하는 Ai 입니다.
엄밀히 말해 작동 원리는 다르지만, 사용자 입장에서 Chat GPT와 유사한 형태입니다.

- sLLM이 시각장애인을 위한 해설, 쉬운 해설을 자동으로 생성하게 합니다.
- 위 결과물을 스마트폰 APP, AR글라스, 로봇 등에 넣어 실제 박물관/미술관에서 실증합니다.

현재 서울대학교 시각 및 학습 연구실, 광주과학기술원(GIST), (주)소소한 소통이 연구에 참여 중이며 실증 기관으로는 서울역사박물관, 환기미술관, 한성백제박물관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위 사업을 준비하며 접근 가능한 미술 용어 데이터 중 가장 정확하고 광범위한 데이터를 찾다 해당 용어사전을 발견하게 되었습니다.

만약 사용 가능하다면 일반 사용자는 물론, 정보 취약 계층이 미술관을 관람할 때 문화와 언어의 장벽을 대폭 낮출 수 있으리라 기대합니다.

관련한 사례나 내규가 있다면 안내해주시길 부탁드리며, 사업 등에 더 궁금하신 사항 있으시면 위 메일 주소로 대화 이어갈 수 있게 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목록보기